.1 노화에의거 황반이 나빠지는 경우는 주로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건성 황반 변성과 주로 후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습성 황반 변성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건성 황반 변성(Dry AMD이란 혈관 신생이 없고 삼출 성이 아닌 상태로서 망막의 시신경에 접촉 해 있는 색소 상피가 완전히 없어지고 중심 시야가 점차 감소 된 상태이다 망막 하부에 무 세 포성 무 정형성 파편인 황색 색소가 참착한 결정체가 두루젠(Drusen) 인바 이 Druses이 계속 악화되는 상태다
Drusen이 악화 되지 아니하면 병적인 것이 아니고 단순한 노화 현상이다

[그림] 건성 황반 변성에 있어서 두루잰(Drusen)
.3 습성 황 반성 변성(Wet AMD)이란 망막하부 맥락 막(Choroid)층에 신생 혈관이
발생한다 이를 맥락 막 혈관신생(Carotidal Neo Vascularization=CNV)라한다
신생혈관으로부터 출혈과 삼출물이 새어나와 황반 부종을 일으키고 망막에 상처를 입히고 때로는 급성으로 시력을 상실 하게한다
1) 매락막혈관 신생(CNV) 을 그 형태가 분명한 전형적인 것과
형태가 불분명한 잠재성인 것으로 나누어 다룬다
2) 전형적 병변은 잠재형 보다 신속하게 악화한다
3) 혈관 신생은 모든 종류의 AMD 중 20%에 불과 하다 할지라도
건성 AMD보다 중증의 시력 상실 위험을 지닌다
4) 그러나 건성 AMD의 10-20%는 혈관 신생의 병태를 지니고 있다
5) 즉 동일한 환자에게 건성 과 습성이 동시에 존재 할 수 있다
 |
Optic Nerve: 시 신경
Retina: 망막
(시신경이 접촉 해 있는 곳)
Choroid:맥락 막
(혈관이 많이 모여있는 곳)
Sclera(공막):눈을 둘러싼 보호막 | |
 
|
습성 황반 변성에 있어서 맥락 막의 혈관 신생
(Choroidal Neo Vascularization)
맥락 막의 혈관 신생은
분명한 전형적인 것과
잠재성인 경우를 구별하여 다룬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