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혈중 중탄산 이온의 농도가 저하된 상태이다 가장 흔한 산염기 평형 이상 상태이며 동맥의 pH가 낮아지는 경향을 지닌다
.2 정상적인 음 이온 차이(gap)를 지닌 대사성 산증은 통상 위징에서 중증 설사 시 처럼 중탄산 이온을 과잉으로 상실 하므로 인해 유발 된다
또는 신장의 신세관 산증에서 처럼 신장에서 중탄산 이온을 재 흡수 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중탄산 이온을 재생하지 못하므로서 유발 된다
염화 암몬 같은 산성 염을 섭취하면 염산을 생성 시키므로 산증이 유발 될 수 있다
.3 음 이온의 차이(gap)가 증가 함을 특징으로 한 대사 성 산증은 흔히 요산 산증에서 처럼 인산과 황산 같은 무기 산의 신 배출이 감소 하기 때문에 유발된다
또는 젖산 산증 이나 당뇨병 성 케톤 산증에서 처럼 유기 산이 축적 되므로서 유발된다
.4 대사 성 산증은 혈청 전해질 과 동맥의 pH 와 PaCO2.을 측정 하여 진단한다
.5 .흔히 심장 기능이 저하되거나, 말초 정맥이 수축하거나, 젖산의 간 대사가 억제 되거나 의식 장애 시 과잉 호흡 상태가 유발된다
.
.6 대사 성 산증 치료 목표는 저변에 깔린 장애를 치료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신체의 항상 성 유지 가능이 산염기 불균형을 시정 할 수 있다
.7 산증을 더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과잉 알카리증으로 전환 될 위험을 방지 해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치료는 지속적이면서 중증인 경우에 사용한다
.8 통상 사용 되는 알카리 화 제제는 중탄산 소다 이다 요산 산증이나 신 세관 산증 같은 만성적 대사 성 산증에 상실된 중탄산 이온을 보퉁 하기 위해 경구로 투여 된다
.
.9 산증이 K 결핍 상태이면 중탄산 카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구연 산 카리(Potassium citrate) 와 구연 산 소디움도 사용되어 왔다
.
.10 특히 동맥 pH 가 7.1이하로 내려 가는 급성 및 중증인 경우에는
중탄산 소다를 정맥 주사 해야 한다 중탄산 소다 정맥 주사는
중증 신 부전이나 중증 분비 성 설사나 신 세관 산증에 의한 급성 대사 산증 시에 주사한다 예를 들어 순환기 과 부하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는 고장 액을 사용한다할지라도 대략 등장 액의 중탄산 소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동맥의 pH 와중탄산 소다는 다소 높혀 주어야 하며 환자의 반응을 잘 관찰 해야한다
.11 대사성 산증에는 중탄산 소다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지라도
특히 젖산 산증 이나 조직이 저 산소 상태인 경우에는 논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12 중탄산 염을 투여하면 2산화 탄소가 생성 되니 적절하게 제거 되지 않는 다면 조직의 관류 상태가 나쁘고 호흡 상태가 장애를 받고 있으므로 탄산 가스는 세포 속으로 재빨리 확산 돠므로 세포 내 산증을 악화 시킬 수 있다
.
.13 또한 젖산 같은 유기 산이 관여하는 대사성 산증에 있어서는 동맥의 pH가 시정 된 후 산이 대사 되기 때문에 과잉 알카리 화가 될 위험이 있다 이 같은 이유로서, 심장 구급 시 중탄산 소다를 사용하는 것은 더 이상 안 한다
.14 현재의 지침은 심장 정지가 고 칼리움 혈증을 나타내거나 3환계 항우울 제를 과잉 투약 했을 때 이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할지라도 그러하다
.15 당뇨병성 캐톤 산증 치료에 있어서는 어떤 경우에는 적절 하다 할지라도 중탄산 염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이 같은 문제로 인해 대사 성 산증 치료를 위해서는 Trometamol 과 sodium dichloroacetate 를 포함하여 다른 방법이 연구 되어 왔다
.16 젖산 소다움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전에 중탄산 염으로 대사 되는
알카리 화 제는 일반적으로 사용 안 된다 왜냐하면 급성 산증을 지닌 많은 환자는 잦산 과 같은 대사 활성이 장애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17 급성 신부전과 관련된 난치 성 대사 성 산증은 복막 투석이나 혈액 투석이나 혈액 여과 등을 시행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