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임상은
7.5mg/1일 요법을 지속 해 왔던자
6mg/1일 요법을 지속 해 왔던자
5mg/1일 요법을 지속 해 왔던자
4mg/1일 요법을 지속 해 왔던자
3mg/1일 요법을 지속 해 왔던자 등
장기 요법 투약을 지속 해 왔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주 마다 1mg씩 감량 해 가는 방식을 취했다.
4주 마다 1 mg 감량 할 때 모든 환자는
1mg/1일 용량 이상에서 모두의 효과가 감소 되었다.
예를 들어 3mg/1일 복용하던 환자 중 한 사람은
1mg/1일 에서도 효과를 보였으나
그 이하에서는 효과가 없어 졌다는 등이다.
이상과 같이 4주 간격으로 각자의 용량을 감소 시킨 후
최저 유효 용량에서
24주간 더 계속해서 약을 투약하게 하고 증상을 관찰하였다.
이를 용량 조정 전 증상과 비교 했다.
그 결과 아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총 투약 자 31명 중 22명 (71%)이 3mg/1일 용량에서
24주간 동안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음을 보여 주고 있다.
7.5mg/1일 요법을 투약 받던 자가 본 임상 에서는
3mg/1일 로 최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4주 지속 투약 기간 중 이렇다 할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Prednisolone 저용량 장기 요법은
지금 까지는 5mg 이상 수준에서 10년-20년 수행되는 경향이었으나
이를 3mg/1일 이하로 감량 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 팀의 견해다.
임상
실험전
복용해 온
1일 용량 |
재 발견된 최적 용량 |
4주에 1mg 감량하면서 최적 용량을 발견한 시점 부터
최적 용량을 24주간 더 투약하면서 증상 변화를 측정 |
투약
시작
환자 수 |
재 발견된 최적 용량으로 24시간 지속 한 용량 |
|
1mg
|
2mg |
3mg |
4mg
|
3mg |
20 |
|
1 |
3 |
15 |
1 |
4mg |
1 |
|
|
|
1 |
|
5mg |
8 |
|
|
|
4 |
4 |
6mg |
1 |
|
|
|
1 |
|
7.5mg |
1 |
|
|
|
1 |
|
Total |
31 |
|
1 |
3 |
22 |
5 |
[그림] 스테로이드는 세포막을 통과한 후 스테로이드의 수용체에 결합한 후
비로서 핵속 유전자에 작용을 하게 된다.
스테로이드를 과잉 사용하면 수용체가 고갈되어 내성을 일으키게 되며 수용체가 다시 생기는 기간 (한달 정도) 까지는 듣지 않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