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불면증 치료법 (1차 불면 증 과 2차 불면 증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만성 불면증 치료법 (1차 불면 증 과 2차 불면 증) 한 달 이상 고생하는 불면증을 만성 불면증이라 한다 . 만성 불면증은 1차성 불면 증 과 2차성 불면증이 있으며 그 치료 법을 달리 해야 한다. 이는 미국 로체스터 의대 Mayo Clinic 연구 팀이 일반 개업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학 최고의 전문지 (NEJM)를 통해 발표한 내이다 1차성 불면증이란 ? 특성 유아, 소아적 부터 시작 되었으며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지속적인 불면증이다 과거의 스트레스 과거에 어떤 스트레스로 인해 잠시 불면증을 겪었던 자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방식이 잘못된 이유로 체내 생리상태가 비정상화되어 스트레스 요인은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면 중 생리적으로 자극을 받는 상태이다 뇌파적 특징 뇌파 검사 등 객관적으로 불면 증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환자 자신은 잠을 못 잤다고 호소하는 불면증이다 환자 발견 법 -자다가 잘 깨는 불면증이 많다. -깨어날 때 PET 뇌 촬영을 해 보면 포도당 대사가 매우 활발하다. -수면 도중 뇌파 촬영을 해 보면 베타 파는 증가하고 Theta 파 와 Delta 파는 감소해 있다. -일중 24 시간 동안의 신진 대사율이 증가해 있다. -ACTH 호르몬과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가 매우 증가해 있다. 2차성 불면증이란 ? 현재의 스트레스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성 요인이 불면을 유발 정신 질환성 불안 우울 등 정신 질환으로 인한 불면 수면 환경성 수면 환경이나 습관적 행동 방식이 불면을 유발 합병증성 만성 통증, 야간 기침, 호흡곤란, 다리 저림 등 질환이 유발 약물성 술, 카페인 등 이 원인 인 경우 1차 불면증 치료 원리 1차 불면증은 약물 요법부터 시도해서는 안된다 인식 행동 교정 요법을 먼저 시도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약물 요법과 병행해서도 효과가 떨어진다. 인식 행동 교정 요법이 실패하면 약물 여법을 시도 한다 인식 행동 교정법이란 어떤 것? 불면증 원인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도할 수 있다. 일반 개업 의가 전문의로부터 3 시간 교육 받으면 환자에게 실시 할 수 있다. 환자 당 1회 20분-50분 정도 4-6회 실시한다. 수면 도입 시험에서도 Triazolam 과 효과가 같거나 Zolpidem 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인식 행동 교정법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자극 요소 통제법 -잠이 올 때 침대에 높는다 . -침실은 오로지 침실용으로 만 사용한다.-15-20분 잠들지 못하면 즉시 다른 방으로 가서 다른 일을 한다. -잠잔 시간과 관계 없이 동일한 시간에 기상한다. -낮잠을 없앤다. 수면제한법 -잠 자는 시간을 5 시간으로 줄인 후 침대 누워있는 시간과 실제 수면 시간 비율이 90%에 도달하면 매주마다 15분씩 수면 시간을 연장해 나간다. Relaxation 법 -근육 이완 Biofeedback -명상 및 최면요법 인식 요법 -8시간 이상 자야 한다는 고정 관념 타파 수면 위생 환경 -수면 장애 환경 개선: 애완동물, 코골이 동침자, 실내온도 괘종 이용, 알코올, 담배, 커피, 운동 등 2차 불면증 치료 원리 약물 요법부터 시도한다 약물 요법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만성 불면증 약물 요법 불면증 치료 약물에는 불면증 상태에 따라 약을 선택해야 한다. 잠 들기가 어려운 자에게는 Zolpidem 같은 수면 도입제를 사용한다. 자다가 쉽게 깨어나는 자에게는 Temazepam 같은 숙면제를 사용한다. Benzodiazepine계 Benzodiazepine- 수용체 증강제 수면 도입 Triazolam Zolpidem 숙면 도입 Temazepam Estazolam Eszopiclone Zaleplon 근거 2005 August 25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3, No 8 803-809; Clinical Practice Chronic Insomnia; Michael H, Silber The Sleep Disorders Center and the Department of Neurology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