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Arrhythmia)
|
1. 부정맥의
특징
|
심박동 리듬이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불규칙 한 상태 |
증상 |
1) 맥박이 항상 빠르고, 늦거나 불규칙적이고, 갑자기 리듬이 변함 2) 숨이 가빠짐 3) 갑자기 기절하거나 약해짐 4)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음 |

|
원인 |
1) 류머티스열, 선천성 심부전, 심근염, 심근경색, 심근 병변 등의
심장질환이 있는 자 에게 나타남 2) 내분비계 질환, 특히 갑상선이나 부신 질환 시 나타남
3)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 특히 칼륨의 양이 적거나 많을 때 발생 4) 디기탈리스(심장병약), 베타-차단제(고혈압약), 흥분제, 이뇨제 사용 시
부작용으로 발생 5) 항우울제, 마약류 과용 시 발생 6) 흉부, 심장수술 후 후유증으로 인해 발생 |
기타
위험인자 |
1) 스트레스 2) 만성 신장 질환 3) 고혈압 4) 흡연 5) 피로, 과로 6) 카페인, 알코올, 감기약 복용 |
치료 지침 |
- 부정맥은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한 후 치료해야 함
- 심전도 검사는 필수적임
- 부정맥이 필히 나타나는 심부전 같은 원인 질환을 잘 치료 해야 함 |
일반 요법 |
1) 생활습관을 바꾸어 본다. 2) 심폐기능 소생술을 즉시 실시하지 않으면 부정맥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위 사람에게 미리 심폐기능 소생술을 배워 두게한다. |
식이요법 |
1) 전문인에게 문의하여 오렌지류, 바나나, 복숭아등 칼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 한다.
2) 커피, 홍차, 콜라, 쵸콜렛 등 카페인을 함유한 식품의
섭취를 삼가한다. |
2. 부정맥 치료 약 분류
|

Sinus Node |
동방 결절 (맥이 시작되는 곳) |
Atrium |
심방 |
Ventricle |
심실 |
AV Node |
방실 결절 |
Bundle
of His |
히스 속
(근육이 뭉쳐진 것으로서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를 통과) |
|
임상 학적 분류 |
|
사용 약물 |
심실위, 부정맥 |
Verapamil 등 |
심실 위 부정맥과
심실 부정맥 합병 |
Disopyramide 등 |
심실 부정맥 |
Lidocaine 등 |
심전도 양상에 따른 분류
(이 분류 법은 임상에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
Class1 a, b, c |
심근막
안정 작용 |
quinidine, lidocaine, flecainide |
Class II |
베타-차단제 |
|
Class III |
|
amiodarone, bretylium, sotalol |
Class IV |
칼슘-길항제 |
Dihydropyridines 계는 해당 안됨 |
!! 주의 : 항부정맥 약 끼리는 가능하면 병용 하지 않는다.
이유 - 심근 수축력을 감소 시키는 역작용이 심해질 수 있다.
- 저 칼륨혈증 상태를 유발하여 부정맥을 더욱 악화 |
3. 12가지 부정맥 치료 약 비교 평가
|
1) 심실 위 부정맥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 치료 약 |
Adenosine |
- 발작성 상실 빈맥에 선택 약
- 작용 시간이 매우 짧다. (반감기: 약 8 – 10초)
- 부작용 나타나도 곧 사라진다.
- Dipyridamole과 병용시는 작용 시간이 길어 질 수 있다.
- 베타-차단제 사용 후에 곧 사용 가능하다. |
Digoxin |
-심실 세동 과 심실 조동에 사용하면 심실 박동을 부활
-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과 합병된 경우는 사용 금기 |
Verapamil |
- 정맥 주사 후 경구용을 처방
- QRS Complex 가 넓게 나타나기만 한 경우에는 사용 안함
-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에는 금기
- 소아는 증상 악화 가능
- 베타-차단제 사용 후에 곧 사용하면 안된다.
- 천식자에게는 Adenosine 보다는 Verapamil을 사용 |
베타-차단제 |
- 정맥 주는 심실위. 빈맥을 신속하게 조절해 줄 수 있다. |
2) 심실 위 부정맥 과 심실성 부정맥 모두를 치료 할 수 있는 약 |
Amiodarone |
- 사용 영역이 매우 넓다
- 발작성 심실위 빈맥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s)
- 결절성 빈맥 (nodal tachycardias)
- 심실성 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s),
- 심방 세동 (atrial fibrillation)
: 심방 조동이 악화된 경우 불규칙한 빈맥, 만성적 부정맥
- 심방 조동 (atrial flutter)
: 1분 100회이상 규칙적. 만성적이 아님
(심실위 빈맥에 속함)
- 심실 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
- 입원 하에 사용
- 심근 저하 부작용이 거의 없다. |
- 반감기가 수 주간에 이를 정도로 매우 길다.
- 필요 시 1일 1회만 투여 한다.
- 정맥 점적 주사 또는 경구 투여
- 고용량 투여 시는 구역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분활 투여한다.
- 혈중 농도가 일정하게 되기 까지는 수 주일 또는 수 개월을 투여 해야 한다.
- 약물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약을 철저히 검토 해야 한다. |
- 광독성 반응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선 스크린 사용 |
- 요오드(iodine)를 함유하는 물질이므로 갑상선 기능
항진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가 나타나면 일시 중단하고
갑상선 기능을 정상화 시킨 후 투약을 계속 |
베타-차단제 |
- 심장의 자동성과 전도성이 과잉의 교감 신경 흥분 상태에 있는 것을
완화시켜 부정맥을 치료 |
Disopyramide |
- 심근 경색 후 발생하는 부정맥이나 lidocaine에 듣지 않는 부정맥에
주로 사용
- 경구용 제제도 사용되지만 항 무스카린 작용(antimuscarinic action : 콜린성 신경흥분 효과를 억제)이 있으므로 녹내장이나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자에게는 주의 해야 한다. |
Frecainide |
- Lidocaine 계열의 약
- 중증 증상이 나타나는 심실 부정맥에 사용
- 접착부 회귀성 부정맥(junctional re-entry tachycardias),
- 발작성 심방 세동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
Procainamide |
- 심실 부정맥에 정맥 주사 한다. |
Quinidine |
- 상실성 및 심실성 부정맥에 사용한다. |
3) 심실성 부정맥 치료 할 수 있는 약 |
Bretylium |
- 심폐 소생 중의 환자에게 항 부정맥 약으로 사용
- 근육주사나 정맥주사로 투여
- 투약 경로 관계 없이 구역, 구토가 일어 날 수 있다.
- 정맥 주사로 중증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응급시에만 사용 해야 한다 |
Lidocaine |
- 정맥 주사는 서서히 투여하면 비교적 안전
- 심근 경색 후 심실 빈맥이나 심실 세동 억제에 효과 |
Mexiletine |
- Lidocaine 이 효과 없을 때 서서히 정맥 주사 |
Moracizine |
- 특정 환자에게 만 중증 위급성 심실 부정맥을 예방 및 치료 하기 위해 사용 한다.
특정 환자란 이 약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안정화 조치된 자를 말한다. |
4) 심방 세동 (ATRIAL FIBRILLATION) 치료 약 |
특징 |
- 심장 박동이 완전히 불규칙적으로 뛰는 것 - 세동은 심근 섬유가 떨리는 것을 말함 |

|
증상 |
1.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음 2. 불규칙한 심박동이 계속됨 : 매 박동시마다 각각 리듬과 강약이 다름 3. 쇠약감, 어지러움, 기절 |
원인 |
1. 류마티스열에 의한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2.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 - 과거 심장마비 발생 여부와는 상관없음 3. 갑상선기능 항진증 4. 울혈성 심부전증 |
위험인자 |
1. 스트레스 2. 심잡음 3. 최근에 심장수술 받음 4. 전해질 불균형 (특히 칼륨농도가 낮을 경우) 5. 폐색전증 6. 갑상선 호르몬제, 카페인, 마약을 사용하는 것 7. 흡연 8. 과다한 알코올 섭취 9. 비만 |
예방법 |
죽상 동맥경화, 관상동맥 질환을 참조하여 위험인자를 피함 |
합병증 |
1. 급성 폐부종 2. 동맥의 혈전증, 색전 3. 울혈성 심부전증 4. 다른 불규칙한 심박동 : 심박동 정지를 일으킬 수 있음 |
치료 |
1. 전기 심장 회전술을 사용할 때 환자의 50%정도에서 심박동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음
2. 나머지 50%는 약물요법이 필요함 |
기본 치료 약 |
Diltiazem, Verapamil, 베타차단제를 기본 |
휴식 시의
심방 세동 |
Digoxin 으로 조절 |
난치성 심방 세동 |
Diltiazem or Verapamil + Digoxin 요법 |
급성 or 발작성 |
Diltiazem, Verapamil, 베타차단제 |
판막 질환
심근 질환, 노인 |
항응고제 함께 사용 |
심방 세동 만
있는 자 |
- Diltiazem, Verapamil, 베타차단제를 기본
- 젊은이는 항응고제를 투약 할 필요가 없다. |
뇌색전 뇌졸중
예방 |
- Aspirin 보다는 Warfarin이 더 효과적
- Aspirin 의 사용량은 75–300 mg/일 |
5) 심방 조동 (ATRIAL FLUTTER) 치료 |
|
휴식 시의 조동 |
- Digoxin으로 조절
- 직류 전기 쇼크 : 정상적인 동방 결절 리듬 부활 |
동방 결절 리듬 유지 |
- Amiodarone
- Sotalol |
부정맥이 오래 지속되면 |
항우울제를 투약하여 색전을 예방하면서
심율동 전환을 위한 조치를 취한다. |
6) 발작성 심실 위 빈맥 (Paroxysmal Suraventricular Tachycardia) 치료 |
특징 |
대부분의 경우는 저절로 사라진다. |
치료 |
- 미주신경 자극 : 호흡기 맛사지 하면서 동방 결절 리듬을 부활 |
미주 신경 자극법 실패 시 |
- Adenosine 정맥 주사가 선택 약 |
심근 질환 또는 판막 질환이 없는 자 |
- Verapamil 정맥 주사를 한다.
!! 베타 차단제를 투약 받은 자는 금기 |
약물 사용 불가 자 |
Copyright © 홀리트리. All Rights Reserved. E-mail:info@holytre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