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P4-억제제는 Sulfoylurea 와는 달리 혈당이 올라간 만큼 만
Insulin을 분비케 하므로 췌장의 인슐린 분비 세포를 장수케 하는 약이다
Sulfonlurea 처럼 인술린을 과잉 분비시키지 않으므로
저혈당이 없고 과잉 인술린에 의해 혈관이 파괴되어
유발되는 합병증(심장 병, 뇌졸중, 신장병, 망막증) 발생율이 적다
DPP-4 억제제는 DPP-4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이다
DPP-4는 인술린을 적당량만 분비시켜주는
GLP-1이라는 호르몬이 작용 한 후 즉시 이를 파괴시켭머리는 효소이다
당뇨병자는 이 DPP-4 의 작용이 너무 과잉으로 작용하므로
인술린 분비가 제대로 되지 못한다
해서 이 과잉의 DPP-4를 억제하는 DPP-4 억제제가 개발 되어
Sitagliptin(자누비아) 같은 당뇨병 약이 개발 된 것이다
그러나 DPP-4 라는 단백질은 인술린을 분비시켜 주는 호르몬인
GLP-1 만을 억제하는 효소가 아니다
DPP-4는 전신에 분포되어 있으며 여러가지 다른 작용을 발휘하는 효소다
특히 건선 환자의 T-림프구 세포 막에는 DPP-4 가 결합하는
DPP-4 수용체가 많이 존재한다
이 수용체에 DPP-4가 결홥하면 T-림프구 는 건선을 유발하고
악화 시킨다
또한 건선 환자의 피부 각질 세포 막에도 DPP-4 수용체가 믾다
따라서 당뇨병 약으로 사용되는 DPP-4억제제인 자누비아가
건선을 유빌하는 T-림프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각질 세포가 과잉으로 증식하면서 비늘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림] 건선 환자의 T-림프구 세포막에는 DPP-4 수용체가 많으며
DPP-4가 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T-림프구가 과잉으로
활성화되어 피부 각질 세포를 과잉 증식시키므로 건선이 유발한다 자누비아는 DPP-4 억제제이며 DPP-4가 수용체에
결합 하지 못하게 하므로 건선을 치료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