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호르몬 단일제와 복합 제 HRT 장기 요법 장단 점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여성 호르몬 단일제와 복합 제 HRT 장기 요법 장단 점 갱년기 여인이 HRT 요법을 위해 여성 호르몬 제 단일제 나 복합 제를 복용하는 경우 어떤 장점이 있으며 어떤 단점이 있는가에 대한 종합적 비교 평가 내용이 드디어 밝혀졌다 이는 미국 Oregon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미국 내과 학회 학술 지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중단 되 버렸던 HRT 요법 갱년기 여인의 HRT(Homrone Replacement Therapy) 요법이라 함은 Estrogen 단일 제제나 Estrogen+ Progesterone 복합 제를 계속 복용케 하여 작열 감 질 건조증 우울증상 골절 심장병 등을 예방하려는 약물 요법이다 2002년 이전 까지는 이 같은 목적으로 HRT요법이 널리 사용 되여 왔었다 그러나 미국정부가 1997년부터 실시한 WHI라는 대단위 HRT 임상이 유방암과 뇌졸중을 증가시킨다 하여 2002년에 조기 중단 되므로 서 전세계적으로 HRT 요법이 거의 중단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WHI 임상 자들 중 단일제는 75% 복합 제는 85%의 여인들이 임상을 계속 자원하므로 서 WHI 임상은 2009년 까지 실시된 것이다 해서 2002년부터 2009년사이에 실시된 임상 결과가 단편적으로 발표되어 나올 때마다 임상인의 주목을 집중시켜 왔다 특히 HRT 요법은 5년 이하는 부작용 없이 사용 가능 하다는 사실이 밝혀 졌으며 따라서 작열 감과 질 건조증에는 단기간 사용하는 처방이 또다시 증가하기 시작 한 것이다 또한 단일 제제는 갱년기 여인이 사용하면 유방암을 일으키지 않고 오히려 유방암을 억제한다는 놀라운 사실 까지 발표(본 뉴스 57호 2012년3월15일 57호) 되었다 2 여성 미국 정부 대단위 임상(WHI) 11년간의 임상 결과 종합 분석 본 연구는 미국 정부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해온 HRT 관련 임상 9편을 총망라 분석하고 통계적으로 가장 적합하게 설계된 26,400명에 대한 WHI 임상을 분석 한 것이며 단일제와 복합제의 장단점은 아래 표와 같다 11년간 실시된 WHI 임상 결과 (녹색은 장점) 발병 비교 위험율 Estrogen + Progestin복합 제 Estrogen 단일 제 16,708 명 10.739 명 암 유방 암 1.25 0.77 대장암 0.75 1.11 폐암 1.23 1.17 자궁 내막 암 0.78 보고된바 없음 난 소임 1.58 보고된바 없음 자궁 경부 암 1.44 보고된바 없음 심장 순환기 질환 관동 맥 질환 1.22 0.95 뇌졸중 1.34 1.36 혈전 색전증 심부 정맥 혈전 증 1.88 1.47 폐 색 전 1.98 1.37 당뇨병 0.79 0.88 골절 히프 골절 0.67 0.61 척추 골절 0.68 0.62 기타 0.76 0.70 사망 모든 원인 1.04 1.02 유방암 1.96 0.37 폐 암 1.71 보고된바 없음 담석증 1.61 1.79 인지 기능 치매증 가능성 2.05 1.49 경증 장애 1.07 1.34 요실금 1.39 1.53 단일제-----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d 복합 제-----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d + medroxyprogesterone acetate 2.5 mg/d, 본 비교 포에 의하면 각종 암에 대해서는 단일제가 더 안전하다 다 순환기 질환과 혈전 생전 증에 대해서는 단일 제가 더 안전하다 골절 예방에 대해서는 단일제가 더 안전 하다 각종 원인에 의한 사망율도 단일제가 더 안전 하다 치매 증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일 제기 더 안전하다 요실금에 대해서는 복합 제가 더 안전 하다 근거 17 July 2012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ume 157 • Number 2 Menopausal Hormone Therapy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hronic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to Update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s: Heidi D. Nelson, MD, MPH et al; Evidence-based Practice Center,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University, and Providence Cancer Center, Providence Health & Services, Portland, Oregon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