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산통 이란 무엇이며 후이증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영아 산통 이란 무엇이며 후이증은? 출산 후 한 달 기간 중 영아 산통을 경험한 아이들은 소아 편두통 환자가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아울러 영아 산통 과 편두통은 같은 병태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서로의 치료 법을 이용해 볼 수 있게 되었스며 새로운 치료 법도 개발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프랑스 와 이태리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미국 의사 회 학술 지(JAMA)를 통해 발표 된 내용이다 [그림] 영아 신통은 출산 후 매주 마다 통증 때문에 울어 대는 시간이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한다 최고 13주까지 산통을 격는다 정학히 어데가 아픈지는 모르나 복통으로 취급해 왔다 ; 영아 산통(Infantile Colic) 진단 기준 영아 산통이라 함은 출산 아가 한 달 이내에 경험히는 매우 심한 통증을 말한다 1주일에 3일 정도 발작하며 하루 중 3시간 이상을 계속 울어대면서 복부가 불편함 같은 표현을 하는 통증이다 이 같은 증상이 3주 이상 지속 할 때 영아 산통이라 한다 그러나 3개월 지나면 저절로 살아지는 무해한 병으로만 알려져 왔다 지금까지 그 원인이 해명되지 안 했으며 다만 통증 증후군 중 하나로 취급하기도 하는 증상이며 부모에게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는 증상이다 [그림] 소아 편두통 중애는 복부 편두통 소아가 있다 주로 배곱주위 경련통만 않다가 나이먹으면서 머리 의 편두통으로 변한다 소아 편두통 환자의 72.6%가 영아 산통을 경험 2012년 4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종합 병원 응급실에 입원한 소아 편두통 환자 208명(6세-18세)를 편두통 군으로 하고 이와 대조하기 위해 같은 기간 중 다른 외상으로 입원한 자 471명(6-18세) 를 대조군으로하여 이들이 출산 시 영아 산통을 경험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으며 편두통이 없이 외상으로 입원한 대조 군들의 영아 산통 경험 자는 26.6% 임에 비하여 편두통을 지닌 자는 무려 72.6가 영아산통을 경험했음이 밝혀졌다 편두통 소아 비 편두통 소아 영아 산통 발병 72.6% 26.5% 연관 성 비율 6.61 1 [그림] 영아 산통이든 편두통이던 전기적 지극이 혈관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며 혈관이 확장 되므로인한 통증 나타난다 영아 산통과 편두통은 같은 병태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영아 산통 과 편두통은 아직도 그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안 했지만 중추 신경계와 위장 신경계의 통증 유발인자가 유사하다는 사실이 발표되어 왔다 뿐만아니라 영아 산통을 치료하는 방법과 편두통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서로 유사한 점이 많다 특히 오관에 자극을 주는 요소는 모두 제거 해 주어야 한다는 점과 수면 장애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등은 두 질환에는 맹 중요한 치료 지침이다 따라서 영아 산통은 성장하면서 동일한 병태인 편두통으로 변질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론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림] 안면의 삼차 차 신경에 전재하는 serotonin수영체 5-HT 1D가 자극을 받으면 발통 물질 CGRP를 유리하고 이 물질이 혈관을 확장 시키면 편둔통이 발생한 당 Triptain 은 신경에 있는 5-HT 1D 가 자극을 받지 않도록 차단하여 CGERP가 유ㅜ리되지 않도록하고 동시에 혈관에 있는 5-HT1B를 차단핟여 혈관을 수축시켜 통증 발생을 억제한다 Triptan계 편두통 약을 영아 산통에 Triptan계 편두통 약은 Serotonin 수용체(5-HT1B/D)에 작용하여 뇌 독맥을 수축시키고 신경의 염증 상태를 감소시켜 편두통을 완하시키는 약물인바 복부 통증도 완화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 발표자들이 제안한 바에 의하면 Triptan계 편두통 약을 영아 산통에도 사용해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미 편두통 약으로 사용되는 Cyproheptadine 을 영아 산통에 사용하여 증상을 개선시킨 사실도 발표된바 있다 [근거] JAMA, April 17, 2013—Vol 309, No. 15 1607-1612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Migraine and History of Infantile, Luigi Titomanlio, MD, PhDet al: Department of Pediatric Emergency Care .,Pediatric Migraine and Neurovascular Diseases Unit and Unit of Clinical Epidemiology APHP-Hospital Robert Debre´, Paris, France; INSERM,UMR676, Paris; ;INSERM, CIE 5, Paris,France Department of Pediatrics, Luigi Sacco Hospital, Università degli Studi di Milano, Milan, Italy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