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약으로 알쯔하이머 병 발생을 예방 또는 악화를 방지하는 원리 와 알쯔하이머를 유발하는 11가지 요인들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당뇨병 약으로 알쯔하이머 병 발생을 예방 또는 악화를 방지하는 원리 와 알쯔하이머를 유발하는 11가지 요인들 [그림] 그림에서 불빛나는 곳은 기억 세포들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신경 접합부(Synapsis)이며 여기에서 신경 전달이 이루어저야 기억 기능이 수행된다 이 작용을 인술인이 수행한다 알쯔하이머 병은 이 같은 인술인 작용이 감소되어 없어진다 알쯔하이머 병은 기억 세포 막에 있는 인슐인 수용체가 감소하므로 발생한다 이 같은 인술인 내성 상태가 중가 할 수록 알쯔하이머 병태도 악화되어 간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 부터 발표되어 왔다 이 처럼 알쯔하이머 병 과 2형 당뇨병의 병태는 동일하므로 인슐인을 투여하거나 인슐린 내성을 제거하는 당뇨병 약으로 알쯔 하이머 병을 예방 또는 악화를 방지 할 수 있음도 발표 되어 왔다 이에 대하여 브라질 리오데 자네아로 의대 Fernando 교수는 임상 연구 학회 지를 통해 종설을 발표하였다 [그림] 그림에서 기억 새포들 사이를 연결해주는 신경 접부(Synapse): 이곳에 작용하는 인슐인은 기억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억 기능을 유지시키는 인슐인 인슐인은 세포 내로 당을 유입시키는 작용도 하지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조절하면서 인체 세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케 함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중에서도 놀라운 것은 인슐인은 뇌에서는 기억 기능을 유지하게 한다나는 점이다 따라서 아래 그림에서 처럼 신경 접합부의 세포막에는 인슐인 수용체가 존재하며 이 수용체에 인술인이 결합하여야 기억 기능이 작동한다 [그림] 기억 세포막 : 왼편 상층 인슐인 수용체(pTr)에 인슐인이 결합하면 기억 기능이 발동한다 인술인 내성이란 인슐인 수용체가 없어지는 것 아래 그림에서 처럼 기억 세포 막에 인슐인 수용체가 없서지는 것을 인슐인 내성이라한다 ‘ [그림] 왼편 정상인 기억 세포 막에는 인슐인 수용체가 존재한다 오른쪽 알쭈하이머 병의 기억 세포 막에는 인슐인 수용체가 없다 이는 기억 세포 내에서 형성된 변질 단백질 베타 아미로이드 (AB)가 인슐인 수용체를 파괴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슐인 내성 상태에서는 아래 그림 처럼 기억 기능이 중단 된다 [그림] 알쯔하이머 병의 초기인 기억 세포: 왼편 상층 인슐인 수용체(pTr)가 약간 만 감소 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기억기능이 약간먼 감소 된다.이는 기억 세포 내에서 형성된 변질 단백질 베타 아미로이드(ABO)가 인슐인 수용체를 약간만 파괴시킨 상태이다 [그림] 오른쪽 알쭈하이머 병의 기억 세포내에는 Amyloid라는 단백질이 변질한 베타 아밀로이드가 프라그를 형성한 후 인슐인 수용체를 파괴하는 등으로 기억기능을 상실케한다 알쯔하이머를 유발하는 11가지 요인은 기억 세포에 서 인슐인 수용체를 파괴시키는 베;타 아밀로이드 라는 변질 단백질은 아래 그림에서 처럼 11 가지 이상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축적 된다 이러한 원인 중 상당수 는 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 인자이기 도하다 1) 놔를 다친 경우 2) 뇌에 나쁜 지질이 증가하는 경우 3) 염증이 있는 경우 4)-인슐인 내성과 변질 단백질은 악 순환적으로 서로를 증가 시킨다 5) 뇌 순환 장애 (고혈압, 심장 병등) 6) 대사 증후군(고혈압은 아니나 혈압이 높거나 당ㅂ뇨병은 아니나 혈당이 높은 경우, 비만자 중성지질이 높은 경유중 3가지 이상 지닌 자) 7) 운동 부족인 경우 8) 스트레스르 9) 건강에 유해한 음식 습관 10) 수면 부족 11) 비만 [그림] 기억 세포에 서 인슐인 수용체를 파괴시키는 베타 아밀로이드 라는 변질 단백질을 유발하는 11가지 인자 이들 중 상당 수는 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 인자이기도 하다 [그림] 코를 통해 인술인을 투약하여 기억 기능을 개선 알쯔 하이머 병을 예방 또는 악화를 방지하는 당뇨병 약 알쯔 하이머 병태가 인술인 내성 증가와 변질 단백질의 악 순환적 증가 때문이므로 당뇨병 약으로 기억 장애를 치료하는 임상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특히 인슐인을 코로 주입하는 방법은 혈액 중의 혈당이나 인슐인 농도에 영향을 주지않고 알쯔 하이머 증상을 개선시킨다는 사실이 발표 되었다 ㅣ 또한 Gliptazone 계 닫뇨 병 약이나 아래 그림애서 처럼 기억 세포 막에 존재하는 GLP-1 수용체를 자극하는 exenatide (Byetta/Bydureon), liraglutide (Victoza, Saxenda), lixisenatide (Lyxumia), 등은 인슐인 내성을 감소 시킬 뿐 아니라 변질 단백질을 감소 시키고 기억 세포를 재생시키는 Plasticity (자가 재생 작용) 까지 발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림] 알쯔 하이머 병자의 기억세포: 왼편 상층 ¨인슐인 비강 분무가 인슐인 수용체를 부활시켜 기억 기능을 유지한다 왼편 하충: GLP-1 수용체가 extend-4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기억 기능이 유지된다. [그림] 뇌의 기억 세포 막에도 존재하는 GLP-1은 당뇨병 약(Exenatide등)에 의해 지극을 받으면기억 기능 과 세포 보호 작용과 세포 재생 작용을 수행한다 물론 췌장 에서는 인슐인 분비작용을 한다 [근거]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ume 123 Number 2 February 2013; Alzheimer’s disease and insulin resistance: translating basic science into clinical applications Fernanda G. De Felice;Institute of Medical Biochemistry, Federal University of Rio de Janeiro, Rio de Janeiro, Brazil.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