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기간 중 철분 복용 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면 출산 아에 어떻게 해로운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임신 기간 중 철분 복용 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면 출산 아에 어떻게 해로운가 임신 기간 중 철분 복용 량이 일정 량 이상 넘어가면 출산 아에 해롭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 졌다 저 체중 아 출산 과의 관게도 규명되고 조산아 출산과의 관계도 규명되었다 또한 임신 분기 별로 그 유해 정도가 밝혀 졌다 이는 하버드 의대와 영국 런던 왕립 의대 연구 팀의 연구 결과이며 영국 의사 회지 최신 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 이다 철분 하루 66mg 그 이상은 해롭다 임신 기간 중 철분 복용 량이 하루 66mg 을 초과하는 임부는 헤모구로빈 농도가 증가 해 왔지 만 임신 3분기 중이나 출산 시에 가서의 헤모구로빈 농도가 정상 보다 증가하면 출산 아의 체중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므로 위험하다 특히 과량의 철분이 태아를 통과 하여 태아의 간에 철분 축적이 일어나 독작용을 발휘 할 수 있다 또한 체중 이 증가하면 난산이며 출산 후에도 당뇨병 등 만성 병 발병 가능 성이 높다 헤모구로빈의 농도가 10g/L 증가 할 때마다 출산 아의 체중은 평균 143g 씩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 졌다 이는 2011 월 까지의 메타 분석 과 무작위 임상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것이며 최초의 입증이다 철분 하루 66mg 이하는 어느 정도 유익한가 임신 부의 36%가 빈혈이며 이 중 50%가 철분 부족 빈혈이다 따라서 임신 하면 철분 제제를 복용하기 시작하면 1일 철분 66mg 이하 에서는 철분 제제르 복용하지 않은 자에 비해서 아래 표에서 처럼 철 결핍으로 인한 증상을 현저히 감소한다 철분제제 1일 66mg 이하 복용 자가 복용하지 않은 자 보다 얻는 이점 철 결핍 위험 율 감소 41% 김소 철 결핍성 빈혈 감소 60% 감소 헤모구로빈 증가 4.59g/L -3분기 및 출산시 헤모구로빈 4.5g/L 증가 -헤모구로빈 1g/L 증가시 마다 출산아 체중 14,g씩 증가 저 체중 아 출산 방지, 20% 방지 철 10mg 증가시마다 출산 3%씩 감소 (출산 아 제중은 15.1g 씩 증가) 조 산 아 출산 방지 16% 방지 1-2분기 저체중 방지 29% 방지 1-2분기 조산아 방지 21% 임신 전 빈혈 자가 임신 할 때부터 철분 복용을 시작하면 얼마나 흡수 되나 철분 빈혈 자라 할지라도 저장 철이 감소된 상태에서 철분 제제를 복용하면 12 지장에서 흡수 되는 철분의 흡수 량이 무려 5-6배 많아진다 그러나 저장 철의 저장 정도가 많은 자는 철분 흡수 량이 그 만큼 감소 함으로 제제 함량 간의 차이는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한국에서의 철분 제제의 철분 원소로서의 함량은 1회 복용 량이 35mg 에서 100mg 까지의 제제가 있다 철분 빈혈이 없고 저장 철도 완전히 저장되어 있는 정상 여인이 임신을 안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철분 의 하루 흡수 량은 평균 3mg 정도이며 임신 하면 태아가 필요로하는 만큼 더 흡수하게 된다 철분 빈혈이 태아에 위험한 이유 태아는 산소 결핍증에 걸리고 산소 결핍 상태에서는 태아의 적혈 구가 파괴되며 사산하기 쉽다 최근에 발표된 바에 의하면 스트레스 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부필호르몬 분비 호르몬(ACTH)이 증가하여 조산을 유발하고 적혈구가 파괴 된다 [참고 ] 철분 제제의 원소 철분 함량 철분 제제 함량 원소 철 Fe2 fumarate 200mg 65mg Fe2 gluconate 300mg 35mg Fe2 succinate 100mg 35mg Fe2 sulfate 300mg 60mg F2 sulfate(dried) 200mg 65mg Fe3 Ferrric polymaltose 358mg 100mg Fe3 Iron Casein Succinate 액 1,600mg 80mg [근거] BMJ 2013;346:f3443 doi: 10.1136/bmj.f3443 (Published 21 June 2013)Anaemia, prenatal iron use, and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atool A Haider ScD candidate1, Ibironke Olofin ScD candidate2, Molin Wang assistant professor3, Donna Spiegelman professor 4, Majid Ezzati professor 5, Wafaie W Fawzi professor 6, on behalf of Nutrition Impact Model Study Group (anaemia) 1Departments of Epidemiology and Nutrition,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677 Huntington Avenue, Boston, MA 02115, USA ; 2Department of Epidemiology,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 3Department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Departments of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 4Departments of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 5MRC-HPA Centre for Environment and Health,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School of Public Health, Imperial College London, London SW7 2AZ, UK ; 6Departments of Global Health and Population, Nutrition and Epidemiology,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 02115, USA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