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이 항생제 설사로 사망율이 높은 이유와 예방 법
페이지 정보
짧은주소
본문
노인들이 항생제 설사로
사망율이
높은 이유와 예방 법
2016-07-12
항생제 설사는 Clostridium difficile균의 감염증이며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급증해 왔습니다.
난치성이며 한 번 걸린 자는 20%가 재발하고
한 번 재발하면 60%가 3차 4차 재발하고
있습니다.
병원 입원 총 환자의 1%는 항생제 설사 때문이며
노인들은 사망율이 매우 높습니다.
항생 제 설사는 Vancomycin 이나
Metronidazole 로 치료하지만
치료가 잘 안 되는 자, 재발하는 자, 사망하는 자는
비타민D 부족 때문이라는 놀라운 사실이 입증 되었습니다.
이는 미국 코넬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위장병 치료의 진보라는 전문지를
통해 발표된 내용입니다.
[그림-1] 위 그림은 항생제 설사 중의
그림
아래 그림은 치료된 상태
항균제 설사의 증상 특징
[표-1] 과 같은 항균제를 복용하면
통상 5일 내지 10일
기간 내에 설사를 하게 됩니다.
묽은 변 정도를 자주 하게 되는 경우는
항균제를 중단 하면 2-3일 내에 자연 치유가 됩니다.
그러나 물 설사를 계속 하고 복통과 열이 나고
혈변, 점액변, 물설사, 구역질 등이며
나중에는 장이 뚫리거나 막혀 버리는
중증으로 까지 악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증 상태를 가막성 대장염이라고도 합니다.
장을 절제 하지 않으면 사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설사는 즉시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하는
중요한 질환이며 결코 가볍게 다루면 안됩니다.
비타민D결핍 자는 사망율 45%
본 임상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비타민 D 결핍 자는 [표-2]에서처럼
항생제 설사로 인한 사망률이 45%이며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정상인 자에 비하여
항생제 설사가 난치성이고 재발성이며
사망에 이르는 자들이 5.6 배
더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비타민D 부족한 자는
항생제 설사 치료가 난치 및 재발성
본 임상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비타민 D 부족 자는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정상인 자에 비하여 [표-3]에서처럼
항생제 설사가 난치성이고 재발하는
자가 71%(1.5배)입니다.
[그림-2] 비타민D의
중간활성체 25(OH)D가 macrophage 내에서
활성체 1.25(OH)2D로
변하면 VDR에 결합하여 유전자에 작용하여
생리적 항생제
Cathelicidine을 만들어 내면 바이러스든 세균이든
진균이든 종류에 상관없이 phagosome내에서
제균하는 것을
비타민D의 내인성
면역 기능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Cathelidicine 은 여러 가지 화학적 유주 유도 인자
Chemokine으로 변형되어 감염균 주위에서 신호를 발생 합니다.
이
때 먼 곳에 있는 백혈구와 면역 인자 Cytokine들이
신호를
보고 몰려 들어 제균 하게 됩니다.
비타민D 가 항생제 설사의
재발 과 사망율을 억제하는 이유
비타민D 는 내인성 면역 기능을 통해
급성 감염을 예방 치료하며
적응성 면역 기능을 통해
재발 및 만성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은
이미 입증된 생리 작용입니다.
뿐만 아니라 Vitamin D는 수명 유전자 Clotho와
Telomerase를 관장하여
칼슘과 인의 세포 레벨에서의
조절 작용을 통해 모든 종류의 사망
상태에서
수명을 연장 하는 작용을 지니고
있음도
여러 임상을 통해 밝혀져 왔습니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들은 병의 종류를
불문하고
비타민D 가 부족한 자일 수록 단명 한다는 사실도
이스라엘 텔아비브 의대가 2012년에 발표했습니다.
[근거] Q J Med
2012; 105:633–639; Vitamin D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and increased mortality in severely ill patients Y.
ARNSONetal; Department of Medicine BSheba Medical Center & The Sackler
Faculty of Medicine, Tel Aviv University, Tel Aviv, Israel
노인들의 경우 비타민D 혈중 농도가
8ng/mL 증가 될 때 마다 모든 병으로부터
사망률이 8%씩 감소된다는 사실도
독일
하이델베르그 노인 연구소가
2013년에
발표 했습니다.
[근거] Ageing
Research Reviews 12 (2013) 708– 718 journal homepage: www.elsevier.com.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overall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Ben Schottker;, Aging Research&
Cancer Research Center, ImNeuenheimer Feld 581, 69120 Heidelberg, German
또한
비타민 D3 혈중 농도가 10ng/mL
낮은 자 일수록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이 16% 씩 증가한다고
2014년에 영국 Oxford 의대가 발표 했습니다.
[근거] BMJ 2014; April 14;348 /10.
1136/bmj.g1903: Research Vitamin D and risk of cause specific dea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cohort and randomised intervention
studies; Frank B Hu, et al; University of Cambridge, Strangeways Research
Laboratory, Cambridge CB1 8RN, UK University of Oxford, Oxford,
[근거]
Therapeutic
Advances in Gastroenterology 2014;7(1):14-19. Low Vitamin D Level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Outcomes in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Wallace J. Wang, MD, et al: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New York Hospital Queens/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56-45
Main Street, Flushing, NY 11355,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