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 마비(구안와사) 발생 원인과 경구용 약물요법 비교 평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안면 마비 (구안와사) 경구용 약물요법 비교 평가 안면 마비 (Bell’s Palsy)에 대한 경구용 약물 요법은 부신 피질 호르몬제와 항바이러스 약을 동시에 투약하는 병용 처방이 가장 효과적임이 발표되었다 이는 캐나다 Toronto 의대 연구팀의 연구 분석 결과이며 미국 의사회지(JAMA)를 통해 발표된 것이다 15개국 851개 임상 연구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전 세계 15개 국가에서 2009년 3월까지 발표된 851개 임상 연구 내용을 분석(Meta analysis)한 것이다 이 중에서 임상 설계와 실시 방법이 충실한 무작위 비교 임상 18건을 선정하여 상호 비교 가능한 2,786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처방 1 성인 기준 치료 기간 Prednisolone 60mg/day 처음 5일 30mg/day 30일 10mg/day 2일 Valcyclovir 1000mg/day 5일 처방 2 Prednisolne 1mg/kg/day 12일 Acyclovir 2400mg/day 10일 처방 3 Prednisolone 60mg/day 처음 10일 40mg/day 2일 30mg/day 2일 10mg/day 1일 5mg/day 2일 처방 4 Dexamethasone 0.13mg/kg/day 61일 (7-240) 부신 피질을 주 처방으로 하고 여기에 항 바이러스 약을 동시 병용 추가시키는 처방이 가장 효과가 높았다 다음은 부신 피질 단독 처방의 효과가 높았다 항 바이러스 약 단일 처방은 효과가 없었다 불만족 치료 율 비교 불만족 치료 율 비교 지수 비교\\ (수치 0 이하일수록 약효 크다) 부신 피질 호르몬 + 항 바이러스 약 (동시 투약) 0.48 부신 피질 호르몬 단일 처방 0.69 항 바이러스 약 단일 처방 1.14 (효과 없음) 동시 투약 법이 더 우수 하다 병용 처방의 경우 부신 피질 호르몬 제와 항 바이러스 약은 동시 투약을 하는 것이 더 효과가 우수하다 항 바이러스 약을 먼저 투약한 후 부신 피질 호르몬 제를 뒤따라 투약하는 것은 효과가 덜하다 발병 후 투약 시간의 차이 안면마비 발생 72 시간 내 투약을 시작하는 경우와 72시간 지나서 투약을 시작하는 경우 약물 치료 효과 차이는 없다 얼굴이 찌그러지는 안면 마비란 안면 마비라 함은 귀 속 내이 부분에서 얼굴로 분포되는 다섯 가닥의 안면 신경이 부종을 일으키는 병이다 턱, 입술, 코 언저리, 눈 등의 근육의 동작이 방향성을 잃고 비틀어지는 증상을 나타낸다 방향성을 잃고 비틀어지는 증상을 나타낸다 [그림] 안면 신경(facials nerve)은 뇌신경(7차 신경)이지만 중추 신경이 아니고 말초 신경이다 두 종류의 바이러스가 일으킨다 안면 마비의 2/3은 수포 바이러스인 Herpes simplex가 일으킨다 안면 마비의 1/3은 수두 바이러스 Varicella Zoster가 일으킨다 이 바이러스들이 안면 신경에서 증식하면서 신경을 부어 오르게 한다 Varicella Zoster 인 경우는 Herpes simplex보다 항 바이러스 약을 더 고량 높여 부신 피질 호르몬 제와 병용 처방해야 한다 사람마다 치료 경과가 다르다 안면 마비는 치료를 하지 않아도 71%의 환자는 자연히 치료된다 13%는 치료하면 완치된다 16%는 경증 상태 또는 중증 상태로서 오래 치료해야 한다 초기 증상이 심하면 초기 증상이 심한 자 즉 많이 비틀어져 있는 자라 할지라도 치료하면 61%는 곧 완치된다 33%는 불완전하게 치료된다 통상 치료 기간은 4개월 정도이다 부신 피질 호르몬 제는 어떻게 안면마비를 치료하나 부신 피질 호르몬 제는 항암 작용을 발휘하여 신경 부종을 정상화 시킨다 또한 면역 계로 하여금 항 바이러스 작용을 발휘한다 부신 피질 호르몬 요법은 고용 량 일수록 효과가 더 좋다 근거 JAMA. 2009;302(9):985-993. Combined Corticosteroid and Antiviral Treatment for Bel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hn R. de Almeida, MD; Murtadha Al Khabori, MD; Gordon H. Guyatt, MD, MSc, FRCPC; Ian J. Witterick, MD, MSc, FRCSC; Vincent Y. W. Lin, MD, FRCSC; Julian M. Nedzelski, MD, FRCSC; Joseph M. Chen, MD, FRCSC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