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소염 진통제…단 한번 복용해도 심근 경색 경험 자는 1년 내 59%가 사망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모든 소염 진통제…단 한번 복용해도 심장 병 자에게는 매우 위 험하다 [그림] 소염진통제의 부작용 원리 : Cox-1 효소는 혈관벽에서는 혈전 형성 인자 Thromboxane A2를 생성시키는 효소 Cox-2 효소는 혈관벽에서는 혈관 확장 인자 PGI2 (Prostacycline)을 생성시키는 효소이다 ; 건강한 사람은 이 두 효소의 작용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Cox-2 만을 억제하는 선택성 소염진통재나 Cox-1 Cox-2 모두를 억제하는 비선택성 소염진통재는 모두 다 이 균형을 깨면서 혈류 장애를 유발하여 심장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고 심장 질환자를 악화/사망 시킬수 있다. 이를 FitzGerald 가설이라 하며 부작용 발생을 통해 간접 입증되고 있다 심장 병을 지닌 자들에게는 모든 종류의 소염 진통 제가 매우 위험 하다는 사실이 재환인 발표 되었다 심장 병을 더욱 악화시킬 뿐 아니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덴마크 코펜하겐 의대 연구 팀의 연구 결과이며 미국 심장 학회 학술 지 최신 호(Circulation)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복용 량이나 복용 회수에 관계 없이 위험 하다 심장 마비에 한 번 걸린 사람은 소염 진통 제 복용 량이나 복용 기간에 관계 없이 모든 원인에 이한 사망 율과 심장 마비 발작 율이 높아진다 비록 단 한번 복용 했다 할지라도 5년 6년 후에 까지도 위험 하다 이는 1997년부터 2007년 사이에 심장 마비를 처음 경험 한 후 소염 진통제를 단 한번이라도 복용한 자 10만 명을 대상으로 하여 5년 이상 동안 심장 마비 발작과 모든 원인에 의 사망을 조사 분석한 결과인바 아래 표에서 처럼 소염진통제를 복용 치 않는 자와 비교할 때 심장 발작 후 1년 이내에 모든 원인에의한 사망자는 59%가 더 높았으며 5년 후 사망하는 자도 63%나 더 높다는 사실아 발견 된 것이다 심장 발작 후 소염진통제 단 한번이라도 복용 한자 모든 원인에 위한 사망 1년 후 사망 59% 더 높다 5년 후 사망 63% 더 높다 관상동맥 질환(심근 경색 등)에 의한 사망 1년 후 사망 30% 더 높다 5년 후 사망 41% 더 높다 [그림] Cox-2 만을 억제하는 선택성 소염진통재이거나 Cox-1 Cox-2 모두를 억제하는 비선택성 소염진통제는 모두 다 이 균형을 깨면서 혈전 형성 인자 Thromboxane A2를 증가시키고 혈관 확장 인자 PGI2 (Prostacycline) 생성을 감소시켜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림] Cox-1 효소는 혈관벽에서는 혈전 형성 인자 Thromboxane A2를 생성시키는 효소 Cox-2 효소는 혈관벽에서는 혈관 확장 인자 PGI2 (Prostacycline)를 생성시키는 효소이다 정상인 건강한 사람은 이 두 효소의 작용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Cox-2 만을 억제하는 선택성 약물이거나 Cox-1 Cox-2 모두를 억제하는 비선택성 약물은 모두 다 어느 한쪽 균형을 깨버리면 결과적으로 혈전 형성 인자 Thromboxane A2가 증가하고 혈관 확장 인자 PGI2(Prostacycline)는 감소하여 혈류 장애를 유발하고 심장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심장 질환이 있는 자를 악화/사망 시킬 수 있다. 이를 FitzGerald 가설 이라 하며 부작용 발생을 통해 간접 입증되고 있다. 약물 종류 별 5 년간 사망 율 비교 심장 발작을 일으킨 후에도 소염 진통제를 단 한번이라도 처방 받은 자들은 무려 44% 이다 소염진통 제 복용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여지는 사망 위험은 아래 표에서 처럼 약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위험하다 ( 예: Celecoxib 은 1년째에 2.68배의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심장 발작 후 소염진통제 단 한번이라도 복용 한 자의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비교 위험 율 1년째 2년째 3녀째 4년째 5년째 5년이상 모든 소염진통제 1.64 1.89 1.87 1.87 1.78 1.67 Celecoxib 2.01 1.76 2.12 1.92 1.85 1.91 Ibuprofen 1.48 1.88 1.87 1.67 1.61 1.56 Diclofenac 2.32 2.75 2.21 2.75 2.58 2.08 Naproxen 1.81 1.140 1.19 1.41 1.90 1.12 기타 소염 진통제 1.34 1.47 1.58 1.68 1.52 1.62 심장 발작 후 소염진통제 단 한번이라도 복용 한 자의 관상동맥 질환(심근 경색 등)에 의한 사망 비교 위험 율 1년째 2년째 3녀째 4년째 5년째 5년이상 모든 소염진통제 1.36 1.72 1.65 1.44 1.42 1.44 Celecoxib 1.67 1.71 1.85 1.52 1.54 0.93 Ibuprofen 1.28 1.66 1.46 1.32 1.26 1.41 Diclofenac 1.58 1.97 1.57 2.10 1.64 1.76 Naproxen 1.80 1.61 1.02 1.13 1.63 1.17 기타 소염 진통제 1.15 1.34 1.76 1.21 1.44 1.16 소염 진통제가 위험한 이유 발표된 바에 의하면 소염 진통 제가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혈전 유발 작용이 심장 병 자에게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 하고 있다 소염 진통제인 아스피린 만은 괜찮다 소염 진통제인 아스피린은 소량에 의해 혈전을 예방하는 작용을 지니고 있스므로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