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염 진통제 복용 자의 50%가 난치 성 소장 염 어떤 자들에게 잘 나타나는 부작용 ?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소염 진통제 복용자의 50%가 난치 성 소장 상해 어떤 자들에게 잘 나타나는 부작용 ? [그림] 산 분비 억제제가 소염 진통제의 소장 염 유발 촉진 소염 진통 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류머티스 관절염 환자의 50%가 소장에 난치 성 부 작용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일본 오사카 의대 연구 팀의 연구 결과이며 소화기 질환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소장 벽에 난치 성 부작용 류머티스 관절 염 환자(108명)를 대상으로 소염 진통 제를 3 개월간 복용하되 산 분비 억제제나 통상 복용해온 약들은 그데로 복용케했다 기간 중 켑슐 내시 경을 복용케한 후 8시간 정도 씩 소장 내부 병태 변화를 촬영했다 그 결과 아래 표에서처럼 환자의 25%는 경증 이고 28%는 중증 임이 들어났다 52.8%가 난치 성 소장 염 유발 Total 무해 경증 상해 중증 상해 108명 47.2% 25% 27.8% 나이 60.2세 57.6세 56.4세 66.4세 여자 % 80.6% 86.3% 81.5% 70% 어떤 자들이 소장에 부작용을 잘 일으키나 소염진통제를 처방하는 경우 소염 진통제로 인한 위장 장애를 예방 할 목적으로 산 분비 완전 억제 제(PPI) 나 산 분비 부분 억제제(H2길항제) 를 병용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임상 결과에 의하면 산 분비 억제제를 병용한 자들이 소장 염 발생 위험율이 아래 표에서 처럼 4배나 높다는 놀라운 사실이 발견 된것이다 부작용 유발 위험 인자 인자 중증 상해 나이 65세이상 4.16 PPI 사용 5.22 H2차단제 사용 3.95 또한 나이가 65세 이상이면 부작용 발생 위험이 4.16배나 된다 헤모구로빈 수치도 저하 소장의 잠재적 출혈로 인한 Hemoglobin 수치도 아래 표에서 처럼 현저히 감소 하였다 부작용없는자 경증인자 중증인자 해모구로빈 12.97 12.5 12.16 알부민 4.11 4.05 3.96 산 분비 억제제가 왜 소염진통제의 소장 염 유발을 촉진 하나? 산분비 억제 제를 복영하면 위산이 적어지므로 입으로 섭취한 병원 균이 위산에 의해 죽지않고 소장으로 내려가서 증식한다 따라서 소염 진통 제 자체의 독성과 병원균의 독소가 난치성 소장 염을 유발한다고 설명 하였다 [근거] Digestive and Liver Disease Jan 2013 am Risk factors for sever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induced small intestinal damage _ Toshio Watanabea,∗, Tetsuya Tanigawaa, Yuji Nadatania, Yasuaki Nagamia, Satoshi Sugimoria, Hirotoshi Okazakia, Hirokazu Yamagamia, Kenji Watanabea, Kazunari Tominagaa, Yasuhiro Fujiwaraa, Tatsuya Koikeb, Tetsuo Arakawaa a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Osaka City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Japan b Department of Rheumatosurgery, Osaka City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Japan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