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부족 할 수록 단계적으로 뇌졸중 발생 위험 율도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비타민 D 부족 할 수록 단계적으로 뇌졸중 발생 확률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이유 허혈성 뇌졸중은 뇌졸중 중에서도 빈도가 가장 높다 40대 이상의 한국인은 남자가 3.3% 여자가 2.4% 발생한다 이중 허혈성 뇌졸중은 59%이고 츨혈성 뇌졸중은 41%이다 이는 1999년 통계이므로 현재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당뇨병 자나 고혈압 자등 처럼 혈관이 혈전으로 인해 막혀 혈류가 통하지 않으므로 인해 동작 장애 감각 장애 언어장애 인지 장애 기억장애를 일으킨다 이 같은 혀혈성 뇌졸중이 비타민 D기 부족할수록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 졌다 이는 신뢰도가 매우 높은 장기 임상을 통해 입증 되었으며 동시에 수행한 Meta 분석을 통해 그 입증이 확인 되었다 이는 덴마크 Copenhagen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그 이유와 함께 신경학 학회지 최근 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비타민 D 혈중 농도 적어질수록 단계적으로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율도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본 임상은 덴만크의 30세 이상의 주민 10,170명을 대상으로하여 21년간을 추적 분석 한 결과이다 비타민 D 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고 최저 농도를 지닌 자와 최고 농도를 지닌 자 사이를 100 분위(Percentile 로 분류 한 후 또다시 아래 표에서 와 같이 최고 농도 군과 중간 농도 군 과 최하위 농도 군으로 나누고 21년 간 추적 한 결과 비타민 D 혈중 농도 하위 군은 허렬성 뇌졸중 발생 위험 율이 1.88배 증가 시키고 있었다 또한 허혈성 뇌졸 중 발생에 관여하는 15개 위험 인자를 모두 고려한 후에도여전히 뇌졸 중 발병 위험을 1,82 배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비타민 D 부족은 뇌졸중을 일으키는 가장 위험 한 인자로 취급해야만 할 것이다 1981년부터 2011년 5월 까지 실시한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율 분석 군 100분위 비타민 D 혈중농도 (25(OH)D로서 측정) 대상자 (명) 뇌졸중 발생자수 뇌졸중 발생위험 비율 nmol/L ng/mL 나이 성별 만 조정 함 15개 위험 조건 조절 (아래참조) 1 0-4 7.5-12 3-4.8 480 80 1,88 1.82 2 5-9 13-17 5,2-6.8 519 77 1.50 1.42 3 10-24 18-26 7.2-10.4 1,554 193 1.28 1.26 4 23-49 28-36 11.2-14.4 2,532 325 1.20 1.17 5 50-100 47-71 18.8-28,4 5,085 581 1.00 1.00 계 10,170 1,256 (12.35%) 허혈성 뇌졸중 유발에관련 되는 위험 조건: 나이. 성별, 비만도. 운동, 담배. 음주. 총콜래스테롤. HDL .고혈압. 식이습관. 당뇨병. 심방세동. HRT(호르몬요법). 지질 저하제 복용. .신장 여과율, 등 비타민 D 혈중 농도 적은 자가 나이가 많아 질수록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율도 비례하여 더 증가한다 위 그림에서 처럼 비타민 D 가 적은 자가 나이가 많아 질수 록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율도 중가 한다 지금 까지 발표된 모든 임상을 종합 한 결과도 비타민 D 부족 할 수록 허혈성 뇌졸중이 증가했다 본 주제와 관련히여 2011년 까지 전세계적으로 발표된객관적 임상은 10건 이 였다. 이를 종합 분석 해본 결과는 아래 표 와 같이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최하위 층은 최고 위 층에 비하여모든 조건을 조정한 후에 나타난 허 혈성 뇌졸중 발병 비교 위험도가 1.54 배로 나타 났다 비타민 D 혈중 농도 최하위 자의 허혈성 뇌졸중 발병 비교 율 대상자 총수 58,384 명 허혈성 뇌졸중 발생 자 2,644명 (4.53%) 최고 농도 지닌 자 보다 1.54 배 이로서 비타민 D 가 부족할수록 허혈성 뇌졸중은 역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증 확인 된 셈이다 [그림] 비타민 D 허루 2000 IU 복용군과 하루 400IU 복용군이 2 개월 복용 후에 나타난 유전 자의 활성도의 차이를 보여주는 유전자 도표. 비타민 D 는 291 개 유전자에 직용며 이들 유전자는 주로 면역계 순환기계 종양계 스트레스등임이 유전자 Microarray 기법으로 확인 되었다 비타민 D 가 허혈성 뇌졸 중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는 이유 1 고혈압이 허혈성 뇌졸중을 유발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인 바 비타민 D 는 유전자에 작용하여 혈압을 상승 시키는 Renin 을 증가시켜 고혈압을 악화시키므로서 허혈성 뇌졸중을 간접 유발 한다 [근거]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4;89–90:387–392. Vitamin D: a negative endocrine regulator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and blood pressure. Uskokovic M, et al 2 죽상 동맥 경화나 부정맥(심방 세동)도 혈전 괴를 뇌혈관으로 박출 시켜 뇌 혈류를 막아버리는 뇌 색전을 유발하여 허혈성 뇌졸중을 유발한다는 사실도 주지의 사실인바 비타민 D 는 유전자에 작용하여 혈전 형성 인자인 Thrombomodulin 생성을 억제하고 혈전 용해 인자인 조직 인자(Tissue Factor) 생성을 증가시켜 혈전 형성을 억제한다 [근거] 1) Circulation 2000;102:2867–2872.DihydroxyvitaminD (3) and its potent synthetic analogs downregulate tissue factor and upregulate thrombomodulin expression in monocytic cells,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tumor necrosis factor and oxidized LDL. Yamamoto K, et al. 2) J Biol Chem 2004;279:35798–35802.Disruption of nuclear vitamin D Receptor gene causes enhanced thrombogenicity Akaike M, et al 3) JVasc Res 2007;44:11–18 Vitamin D analogs modulate the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thrombospondin-1 and thrombomodulin in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Nakane M,et al [ [그림] 비타민 D가 죽종 이나 혈전 형성 을 억제하는 경로 3,심장 동맥에 형성된 죽종이 혈액중에 존재하는 비타민D의 중간 활성체 25(OH)D 를 감소 시키므로 경동맥에 혈전 형성을 유발하여 이로인해 허혈성 뇌졸 중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아직 학자들 간에 갑론 을박의 대상이지만 검토 할 만 하다 [근거] 1) Atherosclerosis 2009;207:585–590.. Serum vitamin D, parathyroid hormone level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Michos ED, et al 2) Calcif Tissue Int 2009;84:423–424. 25-hydroxyvitamin D is not associated with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older men and women Snijder et al. 4 염증 병태가 허혈 성 뇌졸중의 유발 인자임이 제안되어 왔다 비타민 D 가 부족하면 염증이 악화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염증 억제 작용을 통해서도 비타민 DR가 허혈 성 뇌졸중 억제 할 수 있다 [근거]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10;30:2317–2319 Vitamin D3 suppresses immune reactions i atherosclerosis,affecting regulatory T cells and dendritic cell function.Bobyshev [그림] 비타민 D가 죽종 이나 혈전 형성 을 억제하는 경로 5 비타민 D 부족이 허혈성 심장 병을 유발하는 위험 인자라는 사실도 이미 발표된 바 있으며 그 원리가 허혈성 뇌졸 중을 유발하는 이유 와 같을 수 있다 [근거] Circulation 2008;117:503–511.Vitamin D deficienc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Booth SL, et al 6 비타민 D 부족이 말초 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위험 인자라는 사실도 이미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