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증 예방 과 치료를 위한 혁신적 지침 미국 모든 관련 학회가 성명서로 발표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치매증 예방 과 치료를 위한 혁신적 지침 미국 모든 관련 학회가 성명서로 발표 [그림] 뇌의 기억력 등 인지능력을 담당하는 곳에 혈류량이 적어지면 기억력 및 인지능력이 감퇴된다. 기억 감퇴를 포함한 인지 기능 장애는 혈류 장애가 핵심적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림] 뇌의 기억 인지 능력 저하여부나 혈류 장애여부는 뇌의 백질 부위를 MRI로 촬영해보면 알 수 있다 뇌졸중 후이증으로 나타나는 치매증이던 노화성 퇴행 현상으로 나타나는 치매증이던 아직도 원인 불명인 알쯔하이머 병이던 간에 모두가 혈류 장애가 핵심 병태를 이루고 있다 [그림] 뇌 [그림] 인지 기능 연결 망: 그 작동 강도는 혈액 공급량에 좌우 된다 이를 통틀어 혈류 장애 성 인지 기능 장애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VCI) 라는 새로운 용어를 채택하였다 [그림] 뇌졸중(stroke) 과 심장병(Heart disease) 를 일으키는 위험 인자 는 치매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이다 -고혈압(Elevated blood pressure) -운동 부족 (Inactivity)\ -Smoking -당뇨병(Diabete) -콜레스테롤 증가(High cholesterol) -지방식 (High fat diet)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치매증을 예방 하기 위해서는 고혈압 자 나 당뇨병자들이 피해야 하는 동일한 위험 인자를 중년기부터 피하면 한다 는 것을 발표 했다 [그림] Acetylcholine 은 인의 사고 영역을 control 하는 신경 정달 물질이다 이 물질이 모자라면 기억장애 치매증이 유발한다 현재 치매증을 치료하는 약(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ine)은 뇌의 acetylcholine 을 증가시켜 주는 약이다 아울러 현재 치매증에 사용되는 약물을 비교 평가했으며 특히 혈류 장애 성 인지 기능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상세한 권장 사항을 발표 하였다 이상은 미국 심장 학회 뇌졸중 학회를 대표하는 전문 위원 21 명이 집필한 성명서이며 신경 학회와 알쯔하이머 병 학회의 동의를 거처 미국 뇌졸중 학회 지 최신 호를 통해 발표한 내용이다 [그림] 뇌는 신경 과 혈관이 하나의 단위(Unit)를 구성하여 조직을 이루고 있다(Neurovascular Unit) 신경절(Neuron) 과 혈관(blood vessel) 을 성상 세포(astrcyte)이 연결시켜주고 있다 혈류 장애가 핵심 병태 뇌는 신경 과 혈관이 하나의 단위(Unit)를 구성하여 조직을 이루고 있다(Neurovascular Unit) 따라서 뇌의 기능은 신경과 혈관의 협동 작용이다 혈류가 감소하면 기억 기능이던 인지 능력이 저하된다 인지 능력을 강하게 발동시키려면 혈류가 증가해야 한다 노화 성 치매증이나 원인 불명의 알츠하이머병은 뇌조직이 퇴화하는 병이다 그러나 이 병들이 나타내는 인지기능 장애는 혈류 장애가 복합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림] 수지상 신경세 포(dendrite)로부터 신경절(neuron )로 신경이 전달 되는것을 변질 단백 (배타-Amyloid)이 방해하고 있다. 알쯔히이머 병태도 혈류 장애 알쯔하이머 병자 의 뇌 세포내에는 변질 단백질(베타 Amyloid)이 축적된다는 사실이 잘알려져있다 그러나 이 변질 단백질이 신경뿐 아니라 주위 혈관을 강하게 수축시켜 혈류 장애를 일으키므로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 하는 것이다 [그림] 상부 Healthy brain: 혈류가 충분한 상탱서 신경도 건강한 모습 하부 위험에처한 신경: 혈류가 부족한 상태에서 신경은 부풀어올라 기능 저하 상태에 돌입 해 있다 뿐만 아니라 알쯔하이머 병태에는 혈류 장애의 원인되는 뇌 경색이 합병되어 있다. 따라서 알쯔하이머 병은 신경 파괴 와 혈관 파괴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병태를 지니고 있다 [그 [그림] 고혈압자나 고 질혈증자는 뇌 경동맥(carotid artery) 에 혈전을 일으킨다 이혈전의 일부인 혈괴(plaque)가 뇌.속의 미세 혈관을 막아 뇌색전을 유발한다 뇌색전 부위는 조직이 사멸한다 100cc 정도 사멸하면 치매증이 유발된다 뇌속 고혈압 자 의 위험성 뇌졸중에 걸린 자나 고혈압자동은 뇌 속에 끊임 없이 침묵의 뇌 경색을 일으키고 있다 즉 목에서부터 흘러 들어온 혈전 조각에 의해 미세 뇌혈관이 막혀 혈류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 해서 혈류 장애 성 인지 기능 장애를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디 뇌 경색 부위가 100cc 만 되면 치매증이 발생한다 ; [그림] 뇌졸 중 예방 법은 치매증 예방법이다 혈류 장애 성 인지 기능 장애를 예방 해 줄 수 있음이 입증된 것 들 중년기 및 장년기부터 실시하면 뇌에 혈류를 증가시켜 치매를 예방 해 줄 수 있다고 권장된 생활 습관은 아래와 같다 -오매가-3 섭취 -지중해 식 (야채 올리브유 등) -운동 -중년기의 체중 조절 (뇌후의 체중은 무관) -금연 -과음 회피 치료를 잘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질환들 -우울증 치료 -중년기 장년기의 수축 기 고혈압 치료 (확장 기 혈압은 무관) -혈당 조절 (고혈당은 혈류 장애 유발) -고 지혈 증 치료 (비만 포함) -협심증 예방 치료 -뇌졸중 예방 -만성 신장병 예방 및 치료 -심방 세동 예방 과 치료 -심부전 예방과 치료 [그림] 현재 치매증을 치료하는 약물은 주로 acetyl Choline 분해 소 (Cholineesterase)를 억제하여 Acetylcholine의 감소를 막아 주는 약물 들이다 l 약물 요법 비교 평가 현제 치매증에 사용 되는 약물을 비교 평가 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혈관 성 인지기능 장애. 치매증. 알쯔하이머 병 Donepezil 유용하게 처방 할 수 있다 감소된 acetylcholine 을 증가시켜 부교감 신경계를 통해 혈류 증가를 유지 Galantamine 유용하게 처방 할 수 있다 Rivastigmine 유용성 입증이 약하다 Memantadine 유용성 입증이 약하다 Glutamate 수용체가 과잉 흥분하여 기억 신경세포가 사멸되는 바 이 수용체의 과잉 흥분을 억제 [근거] Stroke. 2011;42:00-00.) july 21 Vascular Contributions to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 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Philip B. Gorelick, MD, MPH, FAHA, Co-Chair; Angelo Scuteri, MD, PhD, Co-Chair;Sandra E. Black, MD, FRCPC, FAHA*; Charles DeCarli, MD*; Steven M. Greenberg, MD, PhD, FAHA*; Costantino Iadecola, MD, FAHA*; Lenore J. Launer, MD*;Stephane Laurent, MD*; Oscar L. Lopez, MD*; David Nyenhuis, PhD, ABPP-Cn*;Ronald C. Petersen, MD, PhD*; Julie A. Schneider, MD, MS*; Christophe Tzourio, MD, PhD*; Donna K. Arnett, PhD, MSPH, FAHA; David A. Bennett, MD; Helena C. Chui, MD, FAHA;Randall T. Higashida, MD, FAHA; Ruth Lindquist, PhD, RN, ACNS-BC, FAHA;Peter M. Nilsson, MD, PhD; Gustavo C. Roman, MD; Frank W. Sellke, MD, FAHA; Sudha Seshadri, MD; on behalf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roke Council, Council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Council on Cardiovascular Radiology and Intervention, and Council on Cardiovascular Surgery and Anesthesia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