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모자라면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너무 많이 나오거나 너무 적게 나온다 그 이유가 뭣이고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나?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비타민 D 모자라면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너무 많이 나오거나 너무 적게 나온다 그 이유가 뭣이고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나?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과잉인 사람은 비타민 D가 결핍 된 자 일 수록 많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너무 적게 분비되는 사람도 비타민 D가 결핍 된 자 일 수록 많다 그 이유가 밝혀 졌다 이의 증상은 7가지 면에서 정 반대 이다 이는 한국 울산의 대 연구팀의 최초의 발견이며 갑상선 학술 지 최신 호를 발표된 내용이다 자기 항체가 갑상 선 질환을 일으킨다 Graves병 과 Hashimoto 병 여러 가지 종류의 자가 항체가 갑상 선 호르몬 Thyroid 분비 과정을 파괴하면 여러 가지 갑상 선 질환이 발생 한다 이를 자가 면역 성 갑상 선 질환 이라 한다 이 같은 자가 면역 성 갑상 선 질환 중에는 Graves병 과 Hashimoto 병이 대표적이며 서로가 정 반대의 증상을 나타낸다 Grave 병은 Thyroid가 너무 과잉으로 분비되는 병이다 즉 갑상선 기능 과도 항진 증(Hyperthyroidism) 이다 Hashimoto 병은 Thyroid가 너무 적게 분비되는 병이다즉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이다 정반대 되는 7가지 증상 Graves 병과 Hashimoto 병을 대조해 보면 아래 표와 가다 그레이브스병 (안구 돌출 하시모도 병 (갑상선이 부어오름) 갑상 선 기능 항진 증 갑상 선 기능 저하 증 Graves 병 대표적 질환 HYashimoto 병 과잉 분비 Thyroid 너무 적게 분비 윤기 있음 머리카락 까칠하고 잘 빠짐 연함 손톱 잘 부서짐 급맥 심장 서맥 땀이 많고 촉촉 피부 건조 마름 더위 못 참음 체온 추의 못 참음 왕성 식욕 없음 감소 체중 증가 감소 월경량 증가 피로 피로 피로 비타민 D 혈중 농도 낮으면’ 감상선 파괴 시키는 자가 항체 증가 한국의 울산 의대 연구 팀은 갑상 선 질환 자 6,68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8년부터 2011년 기간에 비타민 D 혈중 농도에 따라 환자들의 혈액 중에 나타나 있는 자가 항체를 분석한 결과가 아래 와 같이 비타민 D 농도가 낮을수록 자가 항체 높은 자들이 증가 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한 것이다 비타민 D 혈중 농도 별 갑상선 기능 파괴 자기 항체 지닌 자 25(OH)D 10ng/ml이하 10-30ng/ml 30이상ng/ml이상 TPO-Ab 21.2% 15.5% 12.6% US 14.7%, 9.9% 7.1% TPO-Ab: anti-thyroid peroxidase antibody US; thyroid ultrasonography 비타민 D 의 자가 항체 억제 작용 비타민 D가 적응 성 면역 기능을 조절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비타민 D 의 작용이다 이는 각종 자가 항체를 억제하는 것이 주 작용이다 따라서 자가 항체기 증가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류머 티스 관절 염과 아토피와 천식 등에 비타민D 가 자가 항체 억제 작용을 한다는 것도 임상으로 입증된 비타민 D 의 작용이다 아울러 이번 에 밝혀진 갑상선 질환은 매우 다양한 서로 반대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복잡한 질환인바 이들 모든 증상에 대한 항체에 비타민 D가 억제 작용을 한다는 것은 임상에 매우 중요한 존재가 된 것이다 [그림] 왼편은 Hashimoto 병이며, 자가 항체가 Thyroid 수용체를 파괴시켜 Thyroid분비를 막아 버리고 있다 오른 편은 Graves 병이며, 자가 항체가 Thyroid 분비 조절 호르몬인 TSH를 파괴시켜 Thyroid를 과잉으로 분비케 하고 있다 [근거] Thyroid. 2013 Dec 10. [Epub ahead of print] Low Levels of Serum Vitamin D3 are Associated with utoimmune Thyroid Disease in Pre-Menopausal Women. Choi YM, Kim WG, Kim TY, Bae SJ, Kim HK, Jang EK, Jeon M, Han JM, Lee SH, Baek JH, Shong Y, Kim WB.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Internal Medicine, Seoul, Korea, Republic of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