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은 순환기 질환 위험인자 없어도 뇌졸중 2 배 더 발생한다 어떤 병태인가? 대책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편두통은 순환기 질환 위험인자 없어도 뇌졸중 2 배 더 발생한다 어떤 병태인가? 대책은? 편두통을 지닌 자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순환 기 위험 인자가 없다 할지라도 나이 들수록 침묵의 뇌졸중에 걸릴 위함이 2배나 높다는 사실이 MRI 영상 분석을 통해 밝혀 졌다 이는 미국 컬럼비아 의대와 마이애미 의대와 캘리포니아 의대(DV)등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미국 뇌졸중 학회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뇌의 어데 가 어떻게 장애를 일으켰는지를 밝혀내었으며 뇌졸중 발병 예방 책도 언급했다 [그림]Blocked arteries(혈류가 막힌 동맥) Infarct (뇌 경색): 혈류 장애로 놔 세포가 사망 침묵의 뇌졸중(Silent Stroke)이란 ? 뇌의 미세 혈관이 혈전이나 색전으로으로인해 혈류 장애를 일으켜 뇌 경색이 여기 저기 발생했지만 증상이 없으므로 MRI 등 영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치매증으로 악화 되기 쉽고 증상 있는 뇌졸중을 발생하게 된다 주로 뇌의 어느 곳에서 발생하나 편두통 환자로부터 발견되는 뇌 경색은 아래 아 같다 백질 부-----13%소뇌--------10% 전두엽------7% 나이 들수록 침묵의 뇌졸중 발생 2배 소아 및 젋은이의 편두통이 뇌졸중 발생 위험 인자가 된다는 사실은 1997년도 신경학회지를 통해 이미 발표된바 있다 그러나 순환기 위험인자가 있건 없건 아래 표에서와 같이 나이 들수록 침묵의 뇌졸중이 발생한다는 사실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편두 통 없는 자 편두 통 있는 자 대상 자 수 442명 104명(19%) 침묵의 뇌졸 중 발견된 자 65세 이하 4% 6% 65-74세 9% 13% 75세 이상 15% 30% 전구증상 없는 편두 통이 2.6배 더 위험 전체 임상 대상자 중 편두통 발병 빈도눈 19% 였으며 편두통 환자 중 전구 증상이 있는 편두통은 31.5% 였다 그러나 전구 증상 증상이 없는 편두통 환자가 전구 증상 있는 편두 통 환자 보다 침묵의 뇌졸중 발견 빈도가 2.6배나 더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조 증상이란 편두 통 출현 전 1시간 전에 눈에 섬광이 번쩍이며 구토 구역을 하거나 사지에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이며 편두통 시작과 더 부러 살아진다 편두통 환자의 뇌졸중 발병 예방 편두통 환자는 순환기 위험 인자가 없다할 지라도 더욱 철저히 뇌졸중 예방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따라서 고혈압자가 지키는 항 동맥 경화 식이 패턴을 지켜 복부 비만을 줄여야 하며 적절 한 우동을 지속 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중요한 것은 편두 통을 옳바로 치료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편두통 전문의를 결정하여 치료 받아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근거] Stroke, May 2014 DOI: 10.1161/STROKEAHA.114.005447 Migraine,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and Subclinical Brain Infarction in a Diverse Community: The Northern Manhattan Study.;Teshamae Monteith, Hannah Gardener, Tatjana Rundek, Chuanhui Dong, Mitsuhiro Yoshita, Mitchell S.v. Elkind, Charles Decarli, Ralph L. Sacco, and Clinton B. Wright From the Department of Neurology,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Miami, FL ;‘Department of Neurology, Hokuriku National Hospital, Nanto, Japan ;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and Department of Epidemiology,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Y Department of Neurology, Imaging of Dementia and Aging Labora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