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민국 장년 및 노년층 비타민D 혈중 농도 와 대사 증후 군 역 비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대한 민국 장년 및 노년층 비타민D 혈중 농도 와 대사 증후 군 역 비례 대한 민국 장년 및 노년 층에 있어서 비타민 D 혈중 농도 와 대사 증후 군 발병 빈도는 서로 역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대사 증후군 발병에 대하여 독립적 위험 인자임이 밝혀졌다 이는 제 5차 전 국민 건강 영양 실태 조사를 통해 경희 의대 연구 팀이 밝혀 낸 것이며 유럽 임상 영양 학회 지 최신 호를 통해 발표 된 내용이다 비타민 D 혈중 농도와 대사 증후 군 발병 빈도는 역 비례 대상 자는 제5차 국민 건강 영양 실태 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2,6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사 증후 군의 정의는 국제 당뇨병 연합 회와 미국 심장 학회와 국가 심장 폐 혈액 기관이 채택한 기준에 따른 것이다 대사 증후 군을 지니지 않은 자에 비하여 대사 증후 군을 지닌 자들의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25(OH)D 로서 현저 하게 낮았다 비타민 D 혈중 농도와 고혈압 발병 위험은 역 비례 하였다(p=0.039) 고 중성 지질 혈증의 발병 위험도 역 비례 하였다(P= 0.0474)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낮을 수록 좋은 지질인 HDL의 혈중 농도는 감소 하였다(P=0.0139) 이러한 상관 관계 수치는 나이, 성별, 거주지 교육 정도 경제력, 끽연 비만도, 음주 량 운동 등에 따라 조정한 수치이다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대사 증후군 발병 비율과 역 비례(P=0.0163)했으나 비타민 D 혈중 농도와의 상관 관계 고혈압 발병 위험 역 비례 (p=0.039) 고 중성 지질 발병 위험 역 비례 (p=0.0474) 좋은 지질 HDL 감소 (p=0.0139) 대사증후 군 발병 위험 역 비례 (p= 0.0163) 한편 부 갑상선 호르몬 혈중 농도와 대사 증후군 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대사 증후군 발병을 위한 독립적 위험 인자 따라서 대한 민국 장년 과 노인에게 있어서 비타민 D 혈중 농도는 대사 증후군 발병에 대하여 독립적 위험 인자 임이 들어 난 셈이다 [근거]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 (24 September 2014) | doi:10.1038/ejcn.2014.192;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D, parathyroid hormone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J Kim; Department of Medical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Yongin, South Korea [2]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