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 요 실금의 약물 요법 비교 평가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배뇨장애 요 실금의 약물 요법 비교 평가 [그림] 방광문이 저절로 열려 새어 나온다 (요실금) Bladder(방광) Pelvic muscle(골반근) 요 실금에 사용하는 약물 요법은 주로 방광을 이완 시키는 항콜린약 7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약효와 안전성이 비교 평가되고 여하히 선택 사용할 것인가를 가르쳐 주고 있다 이는 미국 미네소타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인바 1966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 되어온 임상 발표 문중에서 설계와 통계처리가 합리적인 임상(RCT=Radomized controlledTrials) 94편을 선정하여 정합 분석하고 이를 미국 내과학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그림] Detrousor (방광 배뇨근) 부교감 신경이 작동하면 배뇨근이 수축하면서 방광문이 열린다 교감 신경이 작동하면 배뇨근이 이완하면서 방광문이 닫힌다 Sphincter ( 괄약근): 체신경이 지배하는 근육: 오줌을 의지로 참으려면 참을 수 있게 한다 모든 약의 약효 가 다 미약하다 약물간 차이가 없다 현재 요 실금에 사용하는 약은 5가지이며 아래 표에서처럼 환자 1,000 당 치료 율이매우 낮아 약효가 미약하며약물간 차이가 없이 비슷하여어느 것을 특히 선택할 이유도 없는 약들이다 1,000명당 치료 율 범위 1 Fesoterodine 130 명 56-202 2 Oxybutinin 114 명 64-164 3 Trospium 114 명 83-144 4 Solifenacium 107 명 58=156 5 Tolterodine85 85 명 40-129 약의 성택 기준은 개개 약의 부작용 이들 약은 모두가 방광을 이완시키는 항 콜린성 약물들이다 항콜린성 약의 부작용의 부작용은 -구강 건조 -안구 건조 -현기증 -시야혼란 -변비 -설사 -복통-소화불량 -기억장애 -졸림 -피로 등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약물을 중단한 내용을 보면 아래 표와 같다 1,000명당중단 자 범위 1 Fesoterodine 31명 10-56 2 Oxybutinin 63명 12-127 3 Trospium 18명 4-33 4 Solifenacium 13명 1-26 5 Tolterodine Fesoterdne 보다 약간 적음 요 실금 치료약은 약효가 모두 미약하고 서로간에 약효 차이가 없으므로환자개별적으로 부작용이 적게 나타난 약을 선정 해줄 수 밖에 없다 [그림4] 요실금(Incontinence)의 3 가지 종류 Oveflow(방출성): 요도가 감염증 등으로 상하며 방광 문이 잘 안 열리므로 오줌이 방광내 차더라도 배뇨가 어렵게 된다 Stress : 골반 근육이 물리적으로 압박을 받으면 방광문이 열린다 Urge : 신경 장애나 감염증으로 방광이 자극을 받을 때마다 오줌이 방광 내에 게 들어 있어도 방광이 수축하면서 배뇨하게 되는 것을 [참조] 요 실금의 종류 요 실금은 방광근육 이상 또는 신경 장애로 발생하며 모든 종류의 요실금은 치료가 가능하다 약물 요법(항콜린약) + 요분 운동(골반운동)+bio feedback 스트레스 성 기침 웃음 운동시 조금씩 요를 유출 -출산 시 방광근육이 위를 잘못 잡았기 때문 -월경 전 Estrogen 저하로 방광근육의 허약 상태-갱녁기estrogen감소로 방광 근육 허약 긴급성 돌발적으로 요의를 느끼자 마자 대량 배뇨 뇌졸중 파킨슨병 알즈히이머등 신경 장애로 방광 신경에 비정상 신경 전달 과민성 빈도가 매우 잦음 하루 7-8 회 배뇨 신경 장애자 방출 성 돌발적으로 뇨를 약간 만 방출. 완전 배뇨 못함 당뇨병 성 신경 장애 자. 방광근육 허약 자 혼합성 스트레스 + 긴급성 [근거]April 9, 2012 Annals of InteranlMedicineAmerican College of Physician Review Systematic Review: Benefits and Harms of Pharmacologic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Tatyana Shamliyan, MD, MS; Jean F. Wyman, PhD; Rema Ramakrishnan, MPH; François Sainfort, PhD; and Robert L. Kane, MD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chool of Public Health, Minnesota Evidence-Based Practice Center, and University of Minnesota School of Nursing, Minneapolis, Minnesota.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