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ico 균은 대장 암도 유발한다 발암 원리와 제균 7일 요법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Helico 균은 대장 암도 유발한다 발 암 원리 와 제균 7일 요법 위장 궤양과 위 암을 유발하는 Helicoabacter Pylori 균이 대장 암도 유발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 졌다 그 동안 이 같은 사실이 종 종 발표되어 왔으나 한국의 건국 의대 연구팀이 이를 확실하게 확인 입증 하고 미국 소화기 질환 학술지 최신호를 통해 그 발암 메커니즘 해설과 함께 발표 했다 국민의 50%가 Helico균을 지니고 있다 이를 7일 요법으로 제균 하면 위암과 대장암으로부터 해방 될 수 있는 것이다 대장 암 중에서도 가장 많은 선암 (Adenocarcinoma)을 유발 대장 암 중에서도 가장 많은 암은 장액 등을 분비하는 분비선에 암이 발생하는 선 암이다 위에 살고 있는 Helico균은 바로 이 선 암을 유발한다 Helico균이 없는 자와 비교 할 때 아래 표에서처럼 악성 암 발생 율은 무려 2배나 높다 대장 암 (선 암) 발생 빈도 Helico균 보균 자 Helico균 없는 자 악성 대장암 2.9% 6.4% 대장암 전체 20.1% 25.3% 1cm 이상 암 2.9% 6.1% 근위 부위 암 11.4 15% 건강 상태 (2010년 1월-12월) 조사 대상 자 942명 1,253명 나이 49세 49세 남자 61% 62.7% 아스피린 사용자 9.6% 9.4% 담배 년 20간이상 15.5% 17.2% 음주 1일 30그람이상 25.2% 25.7% 비만도 24 24 대사증후군 26.2% 27.2% 수축 기 혈압 117.7 118.9 혈당mg/dL 93.9 94.3 중성 지질 mg/dL 121 121 HDL mg/dL 53.7 53.6 [그림] Helico균의 독소가 대장암을 유발 Helico 균이 대장암을 일으키는 원리 Helcio 균이 대장암을 유발하는 원리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가설로서 설명 되고 있다 첫째는 Helico균이 분비하는 독소가 장벽에 침투하여 장벽 세포를 발암 세포로 변질 시킨다 둘째는 Helico 균은 위에서 Gastrin 을 분비시켜 혈액중의 Gastrin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 Gastrin 이 장벽에 있는 수용체 CCKB(CCK-2)에 결합하면 Cox-2 효소가 많이 증가하게 된다 이 효소 Cox-2가 많으면 ProstaglandinE 등을 합성하면서 잡벽 세포를 발암 세포로 변질 시킨다 셋째는 Helico균은 위산 분비 세포를 퇴화시켜 위산 분비가 적어지는 만성 위엄을 유발하면 장내에 유해 균이 증식하여 발암을 유발한다 항균제 7일 요법 Amoxcycillin Clarithromycin Metrnidazole Esomeprazole 1일 1회 2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500mg 1일 2회 1회 250mg 1일 2회 1회 400mg Lansoprazole 1일 2회 3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50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400mg 1일 2회 1회 250mg 1일 2회 1회 400mg Omeprazole 1일 2회 2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500mg 1일 3회 1회 500mg 1일 2회 1회 400mg 1일 2회 1회 250mg 1일 2회 1회 400mg Pantoprazole 1일 2회 4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500mg 1일 2회 1회 250mg 1일 2회 1회 400mg Rabeprazole 1일 2회 20mg 1일 2회 1회 1g 1일 2회 1회 500mg 1일 2회 1회 250mg 1일 2회 1회 400mg [근거]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June 22, 2012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creases the Risk of Colorectal Adenomas: Cross-Sectional Study and Meta-Analysis Sung Noh Hong •Seung Min Lee •Jeong Han Kim • Tae Yoon Lee •Jeong Hwan Kim •Won HyeokChoe• Sun-Young Lee •Young KoogCheon•In Kyung Sung • HyungSeok Park •Chan Sup Sh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wangjin-gu, SeoulRepublic of Korea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