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 성 피부 감염(궤양 욕창등)에 효과 빠른 보건 식품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난치 성 피부 감염(궤양 욕창등)에 효과 빠른 보건 식품 궤양과 욕창 같은 난치성 피부 감염 증에 항생제를 포함한 어떤 치료 법 보다 효과가 빠른 보건 식품이 밝혀졌다 그 약효 원리도 밝혀졌 이는 미국 위스콘신 의대 연구 팀의 연구 결과이다 벌꿀이 가장 낫기 어려운 궤양 이나 욕창등을 치료 당뇨병자의 발은 신경이 마비되어 있다 따라서 발가락에 약간의 상처만 생겨도 모르고 지내다가 내성 포도상 구균이나 녹농균에 의한 심부 조직 감염증에 걸린다 혈류가 통하지 않으므로 치료가 잘 안 된다 때문에 깊이 패이는 궤양이 되고 넓게 패이는 개방 욕창이 되어 발가락을 절단하거나 다리를 절단한다 당뇨병자 중 15%가 이러한 하지 궤양으로 고생한다 암 환자나 전신 신체 동작이 어려운 장기 와병 환자는 몇 시간을 꼼짝안하고 누워 있으므로 피가 통하지 않은 곳에 하루 밤 사이이에 욕창에 잘 걸린다 궤양이니 욕창의 병균이 혈류로 침입하면 패혈증에 걸려 사망하기 쉽다 이러한 난치성 피부 궤양 과 욕창에 꿀이 효과를 발휘한다 위스콘신 의대 연구 발표 미국 위스콘신 의대 연구팀은 미국 가정의학 협회 지원 하에 당뇨병자의 재발성 난치성 하지 궤양을 대상으로 하여 꿀의 약효에 대한 이중 맹검 임상을 실시했다 그 결과가 현저히 우수하여 이를 발표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WHO 나 미국 질병 통제국도 꿀을 권장하고 나섰다 꿀의 약효 작용 원리 꿀은 난치성 피부 궤양이나 욕창등을 치료해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모조리 발휘한다 꿀의 탈수 작용 진물이 철철 나는 난치성 피부 질환은 진물이 있는 한 병균이 증식하면서 악화된다 그러나 진물을 닦아 내는 일이 고역이다 딱아 내지 않은 진물은 딱정이가 된다 딱정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피부가 호흡을 못 하므로 새로운 피부가 재생하지 못하므로 계속 궤양이 악화된다 그러나 딱정이를 제거하는 일(Debridement)은 고역이다 꿀은 진물을 빨아 없애는 솜털 같은 역할을 한다 딱 정이 제거 수술(Debridemebnt) 경비를 절약해준다 더구나 피부 재생이 빨라 진다 항생제보다 강한 저 농도 H2O2 를 연속 분출 꿀이 진물을 빨아드리면 꿀이 희석된다 꿀이 희석되면 꿀의 당분이 분해되기 시작한다 당분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저 농도의 H2O2가 서서히 분출된다 glucose + H2O + O2 → gluconic acid + H2O2 H2O2 는 난치성 내성 포도상 구균(MRSA)뿐 아니라 모든 균을 죽일 수 있다 약용으로 사용되는 3% H2O2 제제는 강도가 너무 강하다 재생하려는 새 피부 세포를 파괴시켜 버린다 따라서 개방성 욕창에는 사용할 수 없다 꿀처럼 저 농도 (1mmol/L)의 H2O2 를 만들어 바르려면 하루 종일 계속해서 발라 주어야 하므로 불가능한 일이다 꿀은 산성 피부 감염증 부위는 산성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산성 상태에서는 모든 병균에게 해로운 상태이기 때문이다 꿀은 PH 3.2- 4.5 산성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독일 3개 의대 본 의대와 베르린 의대와 함부르그 의대는 만성 피부 감염증과 백혈병 아동의 피부 감염증 등에 대하여 꿀 요법의 효과를 협동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이미 1년 전에 꿀의 효과가 모든 항생제 보다 우수함을 발표하면서 다음과 같이 첨언했다 히포크라테스와 이집트 시대부터 꿀은 피부 감염에 선택 약이었다 꿀을 시체에 바르면 썩지 않는 미이라가 된다 시체에 균이 증식 못하므로 썩지 않는 것이다 1차 2차 세계 대전을 통해 군인들의 상처는 꿀이 치료 해 주었다 꿀은 이미 오랜 역사를 통해 그 약효가 입증된 약이었다 그러나 2차 대전 이후 항생제가 출현함으로 인해 과학자들은 꿀보다는 항생제에 집중해 버린 것이다라고 발표한 바 있다 꿀의 성분 당분---82.4 % 수분---17% 기타---0.6% --Vit-B1 B2 B3 B5 B6 Vit-C, ) --Ca. Cu, Fe, Mg, Mn,P, K 꿀속에 함유된 수분은 매우 적은 량이지만 당과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병균이 꿀 속에 들어가면 수분이 없으므로 증식을 못한다 하물며 H2O2가 게속 분비되므로 살균 되어 버린다 [근거] May 2, 2007 UW New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UW study tests topical honey as a treatment for diabetic ulcer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urlburt┖s physician, Jennifer Eddy of UW Health┖s Eau Claire Family Medicine Clinic the first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of honey for diabetic ulcers.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Foundation Honey helps problem wounds Public release date: 27-Jul-2006 Dr. Arne Simon asimon@ukb.uni-bonn.de University of Bonn God Bless you! 전성수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