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결핍이 비만을 유발 페이지 정보 전성수 0 짧은주소 × 짧은 글주소 복사 Note! 위 주소를 클릭 후, 복사(Ctrl+C)하여 사용하세요. 이전글다음글 목록 본문 비만은 비타민D 결핍 증을 유발하고 따라서 비만 자의 다양한 합병증도 발생한다 비만 이 위험하다는 것은 다양한 합병증 과 수명 단축 때문이다 그러나 더 중대한 근본적 위험은 비만이 비타민D 결핍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는 옥스퍼드와 하버드 등 미국 과 유럽 51개 저명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Plos 의학 전문지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다 지금까지는 비타민 D와 비만은 서로 연관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만 추측했고 인과 관계는 규명된 바 없었다 비만 자는 체질적으로 비타민D 결핍증을 유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비만 자는 체질적으로 비만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바 이러한 비만 자는 또한 체질적으로 비타민D 결핍증을 유발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확증 하였다 아울러 비타민D 결핍 증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지닌 자는 비만을 유발 하지 않는 다는 사실도 입증 하였다 또한 비만이 비타민 D 를 유발하는 이유도 아래와 같이 해명하였다 정상인은 비타민D가 간에 저장되고 필요 시 마다 중간 활성 형인 25(Oh)D 로 변한 후 혈액 중으로 흘러나와 조직으로 분배된다 그러나 비만 자는 복부 지방에 비타민 D 가 더 많이 저장되고 복부에 저장되는 비타민 D 는 사용되지 않고 분해된다 따라서 비만 자는 비타민D를 더 많이 복용하지 않는 한 비타민D 결핍 상태가 된다 비만자가 두려워하는 합병증은 비타민D 가 모자라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것들이다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신장병 감기등 잔병 치레 조기 사망 등등이다 따라서 비만 자는 필수 적으로 비타민D 를 챙겨야 한다 본 연구는 맨델 유전 법칙에 의한 입증이므로 신뢰도가 극히 높다 1차적으로 42,024명에 대한 21개 기존 논문으로부터 12종의 비만 유전자중 어느 것을 지닌 비만 자와 4종의 비타민D 결핍 유전자 중 어느 것을 지닌 자를 대조 비교하여 비만과 비타민 D결핍의 유전적 관련성과 인과 관련성을 맨델의 유전 학적 통계 원리에 따라 연관 분석하였다 해서 비만증 유전자를 지닌 자가 비타민 D결핍 증을 유발하며 비타민 D 결핍 유전자를 지닌 자는 비만을 유발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입증 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재 확인하기 위하여 이미 발표 된바 있는 123,864 명에 대한 유전자 분석 표(GIANT 유전자 분석표)에 따라 재 확인하였다 비만도란 자기 몸무게(kg) 를 자기의 키의 제곱 수치(m2)로 나눈 값이며 30 이상이 비만 자에 속한다 이러한 비만도 수치가 1증가 시 마다 혈액 중에 존재하는 비타민D 25(OH)D 결핍 농도 는 1.15% 씩 감소 한다는 인과 관계를 정립 시킨 것이다 BMI Allele -----유전성 복부 비만 자 Vitamin D synthesis---비타민 D 유전적 항성 장애자 Vitamin D Metabolism---- 비타민 D 유전적 대사 장애자(체내 작용 발휘 비만 퇴치는 곧 비타민 D 결핍 퇴치로 부터 계속 급증 하는 비만은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가장 두려워하는 건강 장수 파괴 위험 인자다 미국의 경우 1/3이 비만 자다 그러나 비만 보다 위험한 것이 비타민D 결핍증이다 무려 100여종의 중대 질환이 비타민 D 결핍 때문에 악화된다 그러나 나 비만 자 모두가 체질적으로 비타민 D 결핍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은 현대 의학의 허를 찌르는 쇼킹한 중대 역병학적 불운이다 더구나 한국인의 비타민 D결핍/불충분 정도는 남자가 83% 여자가 96%로서 세계 하위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타민D 결핍은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이며 모든 선진국이 비만과 함께 비타민D 결핍 퇴치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비만 퇴치는 곧 비타민 D결핍 퇴치가 우선이 될 것이라고 발표자들과 논평 자들이 전망하였다 [근거] Plos edicine February 2013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Vitamin D Status: Bi-Directional Mendelian Randomization Analysis of Multiple Cohorts Research Artic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Vitamin D Status: Bi-Directional Mendelian Randomization Analysis of Multiple Cohorts; Karani S. Vimaleswaran etc :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nited Kingdom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University of Gothenburg, Gothenburg, Sweden University of Zagreb, Zagreb, Croatia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USA University of Oxford, Oxford,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Heidelberg, Mannheim, Germany University of Southampton, Southampton,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Turku and Turku University Hospital, Turku, Finland,Wake Forest School of Medicine, Winston Salem, North Carolina, United States of America,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University of Gothenburg, Gothenburg, Sweden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UK University of Exeter, Exeter, United Kingdom King's College London, London, United Kingdom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Boston, Massachusetts , United States of America 등 51개 의대 및 연구기관 이전글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