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슘 차단제는 칼슘의 농도를 조절하는 약이다.
- 뇌의 기억 세포는 칼슘을 이용하여 기억 정보를 전달시킨다.
그러나 이 기억세포 내에서 이용하는 칼슘 농도는 매우 극미량이다.

[그림] 세포 밖의 칼슘 농도는 mMol 단위만큼 크지만
세포 내의 칼슘 농도는 nanoMol 만큼 극미량이다.
- 칼슘 농도가 약간만 많아져도
칼슘에 예민한 효소들이 자유 분자단 즉 유해산소를 발생 시킨다.
이로 인해 기억 세포가 파괴 된다.
- 노화나 고혈압 상태에서는
기억 세포의 칼슘 통로가 말을 안 듣게 된다.
따라서 과잉의 칼슘이 세포 내로 들어갈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칼슘 통로 차단제는 칼슘 농도를 조절해 주므로
기억 세포를 과잉의 칼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근거]
Journal of Hypertension December 2010 - Volume 28 - Issue 12 -
p 2485-2493
‘Therapeutic aspects Use of calcium channel blockers is associated with better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hypertensive patients with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atfa, Ghassana,b,c,d; Rossignol, Patricka,b,c; Kearney-Schwartz, Annaa,b,d;
Fay, Renauda; Bracard, Sergec,e,f; Felblinger, Jacquesc,f; Boivin, Jean Ma,c; Lacolley, Patrickb,c; Zannad, Faieza,b,c; Benetos, Athanasea,b,c,d
aNancy University Hospital & Inserm Clinical Investigation Centres, France. bInserm U961, Faculty of Medicine, France cNancy University, France
Copyright © 홀리트리. All Rights Reserved. E-mail:info@holytre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