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자의 망막이 혈류 장애를 받거나
노화시의 망막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섭취한 오메가-3 성분 중 DHA라는 성분이
망막에서 4-HDHA라는 약효 물질로 변한다
이는 백혈구 중에 존재하는
지질 대사 효소 (5-Lipoxygenase) 일명 5-Lox가
DHA를 산화시켜 4-HDHA로 전환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 약효 성분 4-HDHA가 망막 혈관 벽에 있는
PPAR-gamma라는 지질 대사 수용체에 결합하면
유전자가 발동하여 새로운 신생 혈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당뇨병자든 노인이든 망막이 상하는 것은
망막의 혈관 벽에서 새로운 미세 신생 혈관이 잔 가지처럼
자라나면서 터져 망막에 출혈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를 증식 성 망막증이라 하며 매우 중증 병태이다
오메가-3는 바로 이러한 증식 성 망막증을 예방하며
치료해 줄 수 있음이 약리 메커니즘적으로 완벽하게 입증된 것이다
따라서 오메가-3는 망막증 환자의 망막에
혈관 재생 인자 억제 약(anti-VEGF)를 직접 주입하는
매우 고가인 첨단 약물 요법을 대치할 수 있으며
이들 약과 병용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2 [그림] ω-3의 약효 성분 4-HDHA는 지질 대사 수용체
PPAR-gamma에 결합하여 유전자를 작동시킨다.
유전자가 작동하면 망막에 신생 혈관 성장 인자가 감소하고
미세 혈관이 성장하지 못하며 증식 성 망막증을 치료한다 |
|
근거 |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9 Feb 2011 Vol 3 Issue 69 69ral 12
5-Lipoxygenase Metabolite 4-HDHA Is a Mediator of the Antiangiogenic Effect of w-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zemyslaw Sapieha,1,2* Andreas Stahl,1,3* Jing Chen,1 Molly R. Seaward,1 Keirnan L. Willett,1
Nathan M. Krah,1 Roberta J. Dennison,1 Kip M. Connor,1† Christopher M. Aderman,1
Elvira Liclican,4 Arianna Carughi,5,6 Dalia Perelman,5,6
Yoshihide Kanaoka,7 John Paul SanGiovanni,8 Karsten Gronert,4 Lois E. H. Smith1‡
1Department of Ophthalmology, Harvard Medical School, Children’s Hospital Boston, 300 Longwood Avenue, Boston, MA 02115, USA.
2Department of Ophthalmology, Maisonneuve-Rosemont Hospital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Montreal, Montreal, Quebec, Canada H1T 2M4.
3University Eye Hospital Freiburg, Killianstrasse 5, Freiburg 79106, Germany.
4Vision Science Program, School of Optomet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94720, USA.
5Health Research and Studies Center, Los Altos, CA 94022, USA.
6Palo Alto Medical Foundation, Palo Alto, CA 94301, USA.
7Department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 02115, USA.
8Division of Epidemiology and Clinical Research, National Eye Institute, Bethesda, MD 20892, U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