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이 전이할 때는 타 조직을 파괴시켜 정지 작업을 해야한다.
암은 조직을 파괴시키는Cathepsin B 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필요로 한다.
이 효소는 산성 상태라야만 Lysosome에서 분비되어
도로 공사장의 불도저처럼 작동을 개시한다.
중조는 산성 상태를 중화시켜 알카리성으로 만들어버린다.
암세포는 항상 그 주위를 산성으로 유지한다(PH 6.5-6.9)
암은 주로 포도당을 먹고 유산을 분비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산성 상태는 정상 세포를 파괴시키고 암의 증식에는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조를 마시면 세포 사이사이를 알칼리화 하므로
암이 전이를 억제할 뿐 아니라 암의 증식도 불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림] 모든 조직의 Lysosome에서는 산성 상태에서 단백 분해 효소를 분비하여 조직을 파괴 시킨다.
중조를 마시면Cathepsinb가 현저히 억제 되어 버린다. |
|
담석증을 앓는 환자는 담즙 분비가 적다.
췌장염을 않는 환자는 췌장액 분비가 적다.
정상인은 소장벽에서
Cholecystokin(CKK)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중탄산(중조) 이온이 충만한 담즙 액 과 췌장 액을 분비케 해준다.
중조 즉 중탄산 이온 (HCO3-) 은
모든 분비 선에서 분비물을 분출케 하는 중요한 전해질이다.
담낭이나 췌장에 암이 발생하면 암은 그 주위를 산성화 하므로
담즙산 분비나 췌장액 분비가 급속도로 감소하면서
암 자체는 급속 증식하면서 확대 및 전이로 악화된다.
따라서 중조 요법은 담낭암과 췌장암에는 이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림] 중탄산 이온 (HCO3-) 이 신경세포에서 전위 차를 일으켜 신경전달을
조절하여 분비액 분비 명령을 진행 시키는 그림 |
|
당뇨병 환자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은
교감 신경계가 과잉으로 흥분된 상태를 지닌다.
따라서 분비액 분비가 저하된 상태다.
이러한 교감신경 과잉 흥분은 GABA라는 신경전달 물질이 조절해 준다.
즉 분비를 증가시켜 준다는 등의 의미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는 이러한 GABA 합성이 저하된 자들이다.
GABA를 만들어주는 GAD라는 효소가 감소되어 있기 때문이다.

윗 그림에서처럼 GABA 가 감소하면
염소 이온 배출 수송 단백질인 KCC2가 감소하여
염소 이온이 세포안에 증가하면서 중탄산 이온(HCO3-)이 배출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위 그림에서처럼
GABA가 이 신경 세포에 작용하더라도
그 신경 전달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난다.
분비 촉진하라는 명령이
분비 억제하라는 명령으로 뒤 바뀌게 된다.
이 때 중조액을 30mg만 투여해도
신경막 전위 차이가 다시 15mV 차이가 나므로
인슐린 등 분비물 분비가 증가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가 암에 걸리면
말초 신경 주위가 산성화되므로 중탄산 이온(HCO3-)이 감소한다.
따라서 GABA 신경계가 반대로 작용하여 신경 통증이 심하며
인슐린 분비도 더욱 억제된다.
해서 중조는 당뇨병 환자의 암 전이를 억제할 뿐 아니라
당뇨병 자체의 병태도 개선하는 이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
아래 그림에서처럼 중조(하루 200mMol/ L) 을 오랜 기간 투여해도
세포 내외에 전해질 및 산도의 교란이 없다.
(이는 사람의 경우 하루 18 그람에 해당한다)
동물 실험에서는 설사나 이로 인한 체중 변화도 없다.

[그림] 중조를 오랜 기간 투여해도 세포 내외에 전해질 및 산도의
교란이없다. 물을 투여한 대조군과 동일한 생리 생태를 유지한다.
본 실험은 인산계 Buffer 물질(3-APP, PME, Pi, a-NTP, b-NTP, r-NTP)을 가하여 비교하였다.
아래 표에서처럼 60일 투여 후에도 중조 군은 대조 군과 8가지 수치에서 유사하다.
|
중조 투여군 |
대조군(물)
|
pH |
7.06 |
7.07 |
Na (meq/L) |
156.4 |
153.4 |
K (meq/L) |
4.12 |
4.19 |
Cl (meq/L) |
114.2 |
116.3 |
pC O2 (mmHg) |
57.9 |
57.2 |
HCO3- (mmool/L) |
15.3 |
16.1 |
BUN (mmol/L) |
15r.8 |
15.4 |
Hematocrit (%) |
43.0 |
40.3 | |
|
근거 |
1) Cancer Research 69, 2260, March 15, 2009.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Bicarbonate Increases Tumor pH and Inhibits Spontaneous Metastases
Ian F. Robey1, Brenda K. Baggett1, Nathaniel D. Kirkpatrick1, Denise J. Roe1, Julie Dosescu2, Bonnie F. Sloane2, Arig Ibrahim Hashim3, David L. Morse3, Natarajan Raghunand1, Robert A. Gatenby3 and Robert J. Gillies3
1 Arizona Cancer Center,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Arizona; 2 Department of Pharmacology,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and 3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Tampa, Florida E-mail: Robert.Gillies@moffitt.org.
2) Cancer 20 Dec 2007American Cancer Society vol 113 issue 4, Pages 767 - 778
GABAb receptor is a novel drug target for pancreatic cancer; Hildegard M. Schuller,
DVM, PhD * , Hussein A. N. Al-Wadei, DVM, PhD, MouradMajidi, PhDExperimental Oncology Laboratory, Department of Pathobiolog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